서울시는 15일 국내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8일 ‘스마트 서울 2015’를 통해 서울 전역의 공공시설에서 무선인터넷 무료 사용을 발표한 데 이어, 민간 통신3사와의 협력으로 서울 전역에 무료 와이파이 1만 개소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의 배경은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빠른 보급으로 와이파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카페 등 일부 상용시설을 제외하면 매우 열악한 공공장소의 와이파이 이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뤄지게 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번 이통사들과 MOU 체결로 서울시가 역점을 두어 추진하는 `2015년까지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1만개소 설치`에 이통3사가 5년간(11~15년) 총 477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CCTV와 교통신호기 등을 연결하는 자가통신망의 일부 여유 대역을 이동통신사에 임대하고, 이동통신사는 시민 접근이 용이한 근린공원, 교차로, 상가도로변 등 주요지점에 10,430개 무료 와이파이존을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이통3사가 구축하는 무료 와이파이 지역은 여의도 면적(2.95㎢)의 27.7배, 서울시 면적의 13.5%에 해당하는 규모다.
무료 와이파이 지역은 1개소 당 무선 인터넷 사용은 반경 50m까지 가능하며, 이 지역에서는 통신사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든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서울시는 서울을 찾는 연간 880만 명(2010년 통계)의 외국인 방문객에게도 많은 혜택이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서울시는 외국인 방문객을 위해 외국인 관광코스와 외국인이 많이 붐비는 명동거리, 홍대 주변거리, 이태원 거리 등에 집중적으로 무료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공공 와이파이 설치는 도심으로 쏠리고 있는 무선 인프라가 틈새지역까지 확산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어 아동복지센터, 경로당, 다문화가정 등 실제로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소외계층에게도 인터넷을 지원함으로써 정보통신 분야의 사각지대를 해소 하며, 디지털복지를 펼쳐나가는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시는 밝혔다.
또한, 시는 통신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해 서울 전역의 각종 재난·재해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통신사에서 설치한 무선공유기(AP)를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 시에서 개발예정인 긴급통화, 공공안전 등의 서비스를 서울 전역으로 확산해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체계가 가능해진다.
더불어 재난·치안 등의 긴급한 상황을 관계 부서 또는 기관과 실시간 영상으로 연계해 화재·방범·시설물 관리·어린이 보호·각종 범죄 등을 신속하게 처리해 시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울시는 공공 Wi-Fi와 달리 통신사 가입자만 사용할 수 있는 상용 Wi-Fi에 대해서도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3사와 내용 합의를 했다.
협약을 통해 통신3사의 공공지역 상용 Wi-Fi 설치 시 지역별, 공익성을 감안해 균형 있게 설치하도록 제한하고, 버스정류소 등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는 무선 공유기(AP) 설치를 공용화 또는 무료화 하도록 유도해, 시민들의 무선인터넷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공공 Wi-Fi는 이동통신사가 1만개소의 공공지역에 설치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인데 반해 상용Wi-Fi는 통신사 정책에 따라 통신사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서울시와 통신3사는 1,544개소의 공공·문화·시민생활공간과 지하철 1~9호선의 모든 차량, 버스, 택시 등 수송률이 높은 교통수단에도 상용 와이파이 존을 올해 안에 설치하기로 했다.
또한, 앞으로 서울시-통신3사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서울 와이파이(WiFi) 기획조정위원회’와 ‘실무협의회’를 정례적으로 운영해 구축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와이파이를 사회 인프라로 보기 시작했기 때문에 좋은 결과다" "공공장소에서는 무료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다니 좋다"는 평가인 반면, 일부에서는 "마구잡이로 수만 늘리지 말고 무선랜 간섭부터 해결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신호가 약한 무선랜이 의도하지 않고 계속 잡힐 수 있으니 와이파이를 계속 꺼 두고 다녀야 겠다" "인터넷 망을 공공재로 구축하다니 세금이 부담된다" "무선 보안에 대한 대응책은 있는가" 등의 의견을 나타냈다.
trend@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