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 초대문화부 장관, "문화자본의 시대가 열린다"

이어령 초대문화부 장관, "문화자본의 시대가 열린다"

 “문화자본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은 28일 대학로에서 열린 ‘문화재정 확충을 위한 대토론회’ 기조연설에서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이론을 인용, 문화자본 투자를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지금까지는 경제자본의 시대였지만 앞으로 문화자본의 시대가 될 것”이라면서 “문화자본은 미술과 교육처럼 축적은 물론이고 재생산이 가능하고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부는 올해 3조4000억원의 예산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년도 예산을 4조5000억원 수준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수립해 놓고 있다.

 이 전 장관은 “교육문제 등 모든 이슈가 경제자본에서 문화자본으로 옮겨 오고 있는데도 그 변화를 모르고 있다”면서 “신언서판으로 대변되는 신체자본, 즉 몸이 자본이라는 것만 인지해도 문화예산을 늘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오늘날의 교육제도는 90%가 문화와 관련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전 세계 7억명이 이용하는 페이스북을 설립한 저커버그가 어떤 신체자본을 갖고 돈 아닌 지혜를 상속받았는지 주의 깊게 봐야 한다”면서 “익명성 위주의 인터넷 가면 무도회를 벗어나 실명제를 선택한 결정이 엄청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냈다”고 강조했다.

 한국 상황도 유사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어령 전 장관은 “산삼과 해삼보다 집에서는 고3이 최고”라면서 “이 아이가 문화자본의 결정체일 수 있다”고 교육이 문화자본의 대표적인 것이라고 소개했다.

 20세기 초 수많은 창조적 예술가를 낳았던 러시아의 현 상황은 문화자본 투자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복지 예산 때문에 문화예산이 가장 먼저 깎인다”면서 “생선을 주는 게 사회복지라면 생선을 잡는 요령을 알려주는 게 문화복지”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은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에는 1도가 모자라 끓지 못하는 부문이 많다”며 “이미 99%가 만들어진 분야에 문화부가 1%를 도와주면 끓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병국 장관은 이날 인사말에서 “정부의 문화콘텐츠 산업 예산은 4800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0.16%에 불과하지만 한국은 세계 콘텐츠 산업에서 2.2% 규모로 9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조금만 더 뒷받침하면 5위로 끌어올릴 수 있는데 이는 문화재정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