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재교육도 변해야 한다

 세계가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산업과 기술의 변화 속도가 눈부실 정도다. 이에 맞춰 기업도 발 빠르게 변화에 대처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렵다.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 역시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노베이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이 변해야하는 이유다. 하지만 대학 등 정규 교육과정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하다. 기업과 사회의 재교육 시스템 역시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 평생고용 개념이 사라진 만큼 사람들이 기업의 새 비즈니스 모델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재교육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기업 재교육은 필수=현재 우리나라 대학 졸업자를 기준으로 볼 때 재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역량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에서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능력은 100점 만점에 67.3점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재교육이 없이는 쓸 수 없다는 결론이다. 기업이 신입사원보다 경력직을 선호하는 이유다.

 업무역량별로는 도덕성·사회적 책임감이 71.2점, 정보·IT 활용능력이 70.8점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가 매겨졌다. 반면에 창의성·문제해결능력은 65.8점, 수리활용능력은 65.2점, 전문 지식·기술 실무적용능력은 64.6점, 비즈니스·산업전반에 대한 이해도는 63.4점 등으로 실무에 필요한 능력은 대부분 낮은 점수를 받았다.

 대한상의는 “신세대 대학생들이 외국어, 컴퓨터 등 스펙 위주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공통 직무역량은 다소 높게 평가됐지만 전공지식이나 실무능력은 기업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것”으로 풀이했다.

 신입사원뿐만 아니라 기존에 기업에 있는 직원 재교육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분야는 2~3년만 지나도 새로운 기술이 계속 생겨나고 있어 끊임없는 재교육 없이는 유지가 어려울 정도다.

 ◇새로운 재교육 도입해야=대학 교육의 한계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따라 재교육은 필수가 됐다. 하지만 기존의 틀에 박힌 재교육으로는 이노베이션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실시하는 재교육은 천편일률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직원들한테 할당하는 경우가 많다. 직무와 전공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에도 교육 시간과 스케줄이 정해지다보니 수업 채우기에 급급한 경우가 많다. 또 평가 시스템도 정확하지 않다. 많은 비용을 투입하지만, 실제 효과는 거두기 어려운 이유다.

 그렇다면 어떤 재교육이 도입돼야 할까. 전문가들은 맞춤형 재교육을 해답으로 제시한다. 대학 및 전문대학과 계약을 맺고 추진하는 재교육형 계약학과, 특성화 전공 프로그램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학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고, 비용도 기업이 일부 부담하는 방식이다.

 ◇재교육, 정부도 나서야=재교육을 기업에만 책임지라고 할 수 없다. 오히려 기업보다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부의 적극적인 재교육 정책은 실업률 감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완전고용을 이루려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펴는 스웨덴의 경우를 보자. 스웨덴 정부는 해고 등으로 실직한 노동자들에게 고용보험을 통해 실업급여를 제공함과 동시에 재교육을 실시해 생산성 높은 산업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직업훈련과 재교육 등의 적극적인 노동정책은 실업률 감소로 이어졌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기업들이 많은 비용을 들여 신입사원 재교육을 하지만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라며 “재교육 비용은 기업에 큰 부담일 뿐 아니라 재교육 비용 증가는 자칫 청년취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효율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기업과 대학 간 긴밀한 협력과 함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