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애플과의 특허전쟁, 구글의 모토토라 인수 등 으로 최근 모바일 업계가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MS)와 잇따라 손을 잡는 등 광폭행보를 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이 같은 움직임은 특허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애플을 상대로 이른바 `반(反) 애플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동시에 구글의 모바일운영체제(OS) 안드로이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MS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대한 로열티를 지급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동시에 MS의 모바일OS 윈도폰 개발과 마케팅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와 MS는 양사 제품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크로스-라이센싱(특허권 상호부여)에도 합의하는 등 제휴체제를 공고히 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와 인텔이 각각 주도해 온 리모재단과 리눅스 재단 등 리눅스 소프트웨어단체들은 공동으로 휴대전화 등에 적용될 새로운 OS를 개발하기로 했다.
이들 재단은 지금까지 자체적으로 개발해온 휴대전화 OS `리모`와 `미고`를 하나로 결합해 새로운 오픈소스 OS인 `티젠(Tizen)`을 개발해 내년 1분기에 선보이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완전 개방형 OS로 만들어지는 티젠은 휴대전화 뿐아니라 태블릿PC, 스마트TV, 넷북, 자동차 등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자체OS인 `바다`와 별도로 인텔과 손잡고 새로운 OS 개발에 나선 셈이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MS, 인텔과 제휴를 강화하는 것은 폐쇄적인 OS를 고집하면서 삼성전자를 상대로 특허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애플에 이들과 제휴해 공동으로 맞서면서 구글의 하드웨어업체 모토로라 인수에 따른 안드로이드 진영 내 미묘한 변화에도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플이된다.
실제로 구글이 모토로라를 인수하면서 애플과 마찬가지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일관 생산체제를 갖출 경우 상대적으로 삼성전자와 HTC 등 제휴사들이 소외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조치들은 이와 함께 삼성전자가 최근 소프트웨어 부문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하려는 움직임과도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와 관련,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최근 시장변화에 대해 "정보기술(IT) 업계에서 급속한 파워 이동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IT 파워가 삼성 같은 하드웨어 업체에서 소프트웨어 업체로 넘어가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빌 게이츠 MS 공동창업자도 최근 이명박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애플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개발하는데 반해 MS는 삼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태블릿PC를 개발코자 노력 중"이라며 "그런 점에서 삼성은 MS의 제일 중요한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애비언증권의 매튜 손턴 애널리스트는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가 삼성전자에 안드로이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한다는 동기를 준 것은 분명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