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보험청약, 공전소에 `단비` 내렸다

지지부진했던 공인전자문서보관소(이하 공전소) 사업이 모처럼 활기를 띄고 있다. 모바일 보험청약 가이드라인 발표에 따라 대부분 보험사에서 서비스 출시를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 참여를 위한 공전소 사업자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모바일 보험청약, 공전소에 `단비` 내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미 서비스를 개시한 한화손해보험을 필두로 삼성화재, LIG손해보험, 대한생명, 교보생명, 신한생명 등 10여개 보험사가 모바일 보험청약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삼성화재와 LIG손보는 시스템 개발 마무리 단계며 나머지 보험사는 사업자 선정을 진행 중이다.

금융감독원 모바일 보험청약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생성된 전자문서는 공인인증기관 또는 공전소가 발급한 타임스탬프를 첨부해 보관해야 한다. 보험계약 체결 후 청약서 및 약관은 이메일이나 샵(#)메일을 통해 고객에 제공토록 하고 있다. 전자문서 위변조가 없음을 공인인증기관이나 공전소를 통해 입증하고 안전하게 보관토록 권고했다.

이에 따라 공전소, 타임스탬프, 샵(#)메일 서비스가 모두 가능한 공전소 사업자가 사업 필수 업체로 꼽히고 있다. 공전소 사업자들은 주로 금융 IT서비스나 솔루션 업체와 함께 사업에 참여한다. 가장 먼저 서비스를 개시한 한화손해보험은 KT넷을, 최근 사업자를 선정한 신한생명은 코스콤을 파트너로 삼았다.

모바일 청약시스템 구축비용은 5억원 미만으로 크지 않다. 하지만 계속 문서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공전소는 연단위 사용료를 받을 수 있다. 타임스탬프 발행에 따른 건당 수수료도 발생한다. 모바일 청약뿐만 아니라 보험사 내부 서류 전자문서 보관 등 추가 사업도 기대할 수 있다. 오랜 가뭄 끝에 `단비`를 만났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한 공전소 관계자는 “모바일 청약으로 발생한 전자문서를 자체 관리·보관하게 되면 법적 문제 발생 시 문제가 없음을 스스로 증명해야 하고 해킹 등 위험성이 크다”며 “공전소는 이에 대비해 안전한 보안장치뿐만 아니라 수십억원에 이르는 보험에 가입돼 있어 기술·제도적으로 매우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보험청약 서비스는 대형 보험사에서 중소형 보험사로 확산되고 있다. 올 초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한화손해보험의 경우 2월 기준 하루에 일반보험 200건, 장기보험 470건이 전자서명으로 체결되고 있다. 효과를 인정한 보험사를 중심으로 시스템 구축이 늘면서 공전소 사업자들도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공전소 활용 모바일 청약 프로세스(한화손해보험·KT넷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