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트론으로 사명까지 바꾸는 현대차전자에 관심이 몰렸다. “한국의 덴소를 만들라”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특명으로 출범하면서 현대차그룹 계열 기업에 있는 반도체·전장 엔지니어를 흡수하는 블랙홀이 됐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모비스에서 전장개발 부문을 떼어 내 현대차전자 중심으로 집중 투자·개발에 나선다고 한다. 현대차그룹이 별도 전장회사를 출범시킨 것은 모비스를 중심으로 전자분야 핵심기술 확보에 노력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정 회장이 최근 “기계 부문은 선진기업을 어느 정도 따라잡았는데 4∼5년 전부터 중요성을 수없이 강조한 전장 부문은 왜 발전이 더디냐”며 개발 관련 고위임원들을 질타한 배경이기도 하다.
전장은 세계 자동차 업계는 물론이고 전자업계의 화두다. 과거엔 엔진이 자동차 평가의 척도였다면 지금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최고 덕목이 됐다. 자동차 한 대에 들어가는 반도체 비용이 지난 2008년 268달러에서 2015년에는 371달러로 늘어나고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도 2010년 250억달러에서 2020년에는 520억달러로 성장할 것이라는 시장조사 결과가 이런 현상을 증명한다. 자동차는 이미 달리는 전자제품이 됐다.
현대차전자의 첫 사명은 현대차그룹에서 소요하는 자동차 전장제품과 반도체를 자체 조달하는 것이다. 다음은 급성장하는 자동차 전장 시장과 자동차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늘리는 것이다. 문제는 자동차용 반도체나 소프트웨어 기술을 하루아침에 확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 회사가 관련 인력을 2년 안에 1000명 이상으로 늘리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무리한 인력 탈취가 아니라 자동차와 전자업체 모두 건전하고 발전적인 인력시장을 형성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