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해외자원개발 자체가 고부가가치

한국석유공사 자회사인 하베스트가 개발 중인 캐나다 앨버타주의 오일샌드 광구 `블랙골드`. 2014년 하루 1만배럴의 석유 상업생산을 목표로 시추 작업이 한창이다.

[기자수첩]해외자원개발 자체가 고부가가치

시추에 들어가는 비용은 일일 16만달러(약 1억8000만원). 광구 매입비용에 추가로 많은 개발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오일샌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돈이 되기 때문이다.

광구 매입에서 개발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약 7년.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돌입하면 불과 3년 만에 투자비를 모두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 한국석유공사의 계산이다. 광구 수명은 30년 정도다. 그 이후 20년간은 유가를 배럴당 100달러로 계산해도 매일 100만달러(약 11억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연간으로 계산하면 4000억원이다.

해외자원개발이 돈이 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기에 캐나다 오일샌드 개발현장에 가보면 블랙골드 광구 주변에 하루 생산량 10만배럴에서 20만배럴에 육박하는 대형 광구 개발에 중국·미국·일본 등지에서 온 자원개발 업체들이 열띤 작업을 벌인다.

한국석유공사는 최근 4년간 자원개발 사업에서 1000억∼4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250억∼670억원의 배당금을 주주인 정부에 지급했다. 적지 않은 액수다.

그러나 최근 감사원은 해외자원개발 및 구매·비축사업에 대한 감사에서 `국내 도입을 고려하지 않은 채 형식적인 자주개발률 위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지양하라`고 지적했다. 이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수익 창출 관점을 무시한 판단이다.

해외자원개발로 자원을 국내에 도입하고 나아가 경제성과도 거둔다면 금상첨화지만, 그러지 못하더라도 자원개발은 그 자체로 고부가가치 사업이다.

지금도 해외자원개발 현장에서는 컨테이너 박스로 만든 임시 사무실과 숙소를 전전하며 고생하는 우리 일꾼들이 쉼 없이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 이들의 피와 땀으로 개척한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편협한 시각으로 매도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