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정부' 구현에 2965억원 투입

정부가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올해 297개 사업에 2965억원을 투입한다. 이 중 337억원은 정부기관 세종시 이전에 따른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등에 사용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스마트 전자정부 시행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세종시 이전 대비 스마트정부 구현 계획은 이날 열린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도 발표됐다. 올해 스마트 전자정부는 △스마트워크 활성화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 △안전하고 따듯한 사회구현 △맞춤형 대국민서비스 제공 △전자정부 인프라 구축 등 5개 측면에서 추진한다.

대표적인 것이 세종시 이전 대비 스마트워크 활성화다. 행정안전부는 세종시 이전으로 중앙행정기관이 전국으로 분산됨에 따라 기관 간 출장 증가, 의사결정 지연 등 행정 비효율이 발생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세종청사로 총리실·기획재정부·국토해양부 등 16개 부처가 이전한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9개 `거주지형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 운영한 데 이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한다. 올해는 출장형 스마트워크센터 모델 개발과 세종청사 내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 개소한다. 내년에는 국회와 중앙청사에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한다. 2014년에는 중앙청사 스마트워크센터를 확장한다.

출장 횟수를 줄이기 위해 청사 내 영상회의시스템도 구축한다. 8월 세종청사 국무회의실에 영상회의시스템을 가동한 데 이어 11월 세종청사 정부공용 영상회의시스템 1단계를 완료한다. 내년 1월부터는 세종청사 내 전 부처로 확대 구축한다. 온라인 환경에서도 협업 가능하도록 디지털행정협업체계도 갖춘다.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에 디지털 행정협업시스템 운영 근거도 마련했다. 행정안전부는 4월부터 18개 과제 운영 및 사용자 교육을, 5월부터는 시범운영상 문제점에 대한 기능개선을 실시한다. 내년부터는 세종시 이전 부처로 확대 적용한다.

행안부·지식경제부·문화체육관광부·방송통신위원회·통계청·산림청 등 6개 중앙부처 대상 모바일 서비스도 시범 실시한다. 각 부처 업무포털, 지식관리시스템 등 행정업무 20종과 식품위생업 지도점검 등 현장행정 업무 30종을 적용한다.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온라인 인허가 자가진단 등 민원처리 서비스도 확대한다. 올해 총 208개 세부과제에 557억원을 투입한다.

안전하고 따듯한 사회구현을 위해 17개 세부과제에 1004억원을 투입하고 학교폭력 등 생활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CCTV통합관제센터` 확대와 취약계층 모바일 활용교육도 추진한다. 국민·기업 등 수요자 중심 서비스 연계·통합 가속화 등에도 423억원을 투입한다. 웹표준 준수 등 전자정부 인프라 구현에도 36개 과제 644억원을 사용한다.

장광수 정보화전략실장은 “2012년 스마트 전자정부 시행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해 급속한 IT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UN전자정부 평가에서도 3회 연속 세계 1위를 수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12년 스마트 전자정부 시행계획


자료 : 행정안전부

정부, '스마트정부' 구현에 2965억원 투입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