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도에서 `사전 검열` 굴욕을 당한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이 지역 서버를 개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도 정부의 서버 열람이 용이해져 관련 규제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23일 인도 일간지 힌두스탄 타임즈는 인도 법무부 고위관료의 발언을 인용해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유튜브가 서버 개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기는 올해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이는 블랙베리 제조사인 RIM이 올해 초 인도에 서버를 개설한 것과 같은 움직임이다.
인도는 정부 차원에서 글로벌 IT기업에 서버 이전을 요구했었다.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으면 인도법 적용이 힘들지만 지역 내에 있으면 원하는 콘텐츠나 데이터를 수시로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인도 정치인들을 비꼬는 농담 등이 돌자 인도 정부가 노골적으로 인터넷 검열을 시작하면서 이 같은 움직임은 가속화되고 있다.
이들 기업이 인도 정부의 `무리한` 요청을 받아들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회원을 늘리기 위해서다. 인도는 아직 전체 인터넷 이용자 3%가량만 페이스북 회원이다. 미국(49%), 영국(47%)에 비하면 턱 없이 낮은 수치. 그만큼 성장세가 높다. 페이스북은 지난 2009년까지 전 세계 가입자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최근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신흥국에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인도 법원은 구글뿐 아니라 야후, 페이스북 등 21개 인터넷 기업에 종교적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물을 차단하는 장치를 개발하라는 법원 명령을 내렸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