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전산장애와 대출비리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농협중앙회와 농협은행에 대해 감독당국이 고강도 종합검사에 나선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4일 “이달 중 농협은행을 종합검사할 계획이다. 기간은 한 달 이상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농협의 신용·경제사업(신·경) 분리 이후 초고강도 검사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한 발언이다.
![금감원, "전산불안 농협, 못믿겠다"…종합검사 착수](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2/05/14/282139_20120514185938_493_0001.jpg)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4월 농협을 통한 거래 기록을 저장하는 전산 서버의 메모리가 완전히 삭제되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전산장애가 연이어 터진 점을 고려해 전산 분야의 문제점을 집중해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검사에서 농협은행 뿐 아니라 농협(중앙회) 전산 시스템의 안정성, 개선 요구 사항 이행 정도 등을 자세히 들여다볼 계획이다”고 말했다.
농협은 지난해 4월 전산 대란으로 금융 서비스를 일절 이용하지 못한 고객 등에게 71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2015년까지 5175억원을 IT 부문 개선에 투입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이런 약속이 나온지 한달 만인 5월에 인터넷뱅킹, 여신심사, 대출 실행 등 영업점 창구 업무가 마비됐고, 12월에도 체크카드 결제 서비스가 마비되는 전산 장애가 잇따랐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서 전산 분야뿐 아니라 지배구조 개선, 경영 투명성 등도 살펴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금융 부문이 지난 3월 초 사업구조 개편으로 중앙회에서 분리됐지만, 중앙회가 여전히 농협금융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농협은행이 중앙회에서 장기간 경영 간섭을 받아 왔으므로 신·경 분리 후에도 그런 관행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금융 당국은 의심하고 있다.
농협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적정성도 검사 대상이다. 금감원은 농협은행의 PF 연체율이나 고정 이하 여신비율이 시중은행 보다 높은 점을 주목하고 있다.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한 풍림산업 PF 사업장에 대한 농협은행의 자금지원 실태도 검사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