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 인력 몸값 제대로 평가 받을 초석 마련됐다

경력 산정에서 상대적 불이익을 받아온 이러닝 전문 인력을 제대로 평가할 실마리를 찾았다. 정부 공인을 받으면 공공기관 프로젝트에서 이러닝 인력 처우가 개선될 전망이다.

한국U러닝연합회는 이러닝 전문 인력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이러닝 설계기술 등급제도`를 7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제도는 교수설계자 등 이러닝 전문 인력의 평가 절하를 개선하고자 만들어졌다. 공공기관 프로젝트에서 일하는 이러닝 인력은 소프트웨어(이하 SW) 기술등급에 따라 임금이 정해진다. 문제는 SW 기술등급이 개발자 평가에 맞지만 이러닝 인력 현실과 맞지 않다는 사실이다.

2004년 이러닝산업발전법을 제정한 이래로 이러닝 전문가들은 공공기관 입찰·발주 시 인력평가 등급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받았다. 교수설계자 경력 6년차의 이모씨(32·여)는 “연차는 `중급`에 해당하지만 소프트웨어 기술등급의 잣대로 보면 `초급`으로 분류된다”며 “공공기관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매니저가 될 경력이지만 더 낮은 직무밖에 맡지 못한다”고 말했다.

한 이러닝 개발사 임원은 “초급으로 분류돼 있던 이러닝 인력이 등급을 올리려면 업무와 상관없는 정보처리 기사와 같은 자격증을 따야 한다”며 “이러닝 현실과 괴리된 등급제도”라고 지적했다.

산업인력공단 관계자도 “교수설계를 하는 사람들이 전문가, 컨설턴트로서 대우 받아야지 SW기술자로 평가 등급이 매겨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이러닝 자격증을 딴 인력만 6000명에 이른다.

이러닝 설계기술 등급제도가 정착하려면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는 “공인 제도가 아니기 때문에 영향은 미미하다”고 말했다. 한국U러닝연합회는 “정부가 이러닝 등급 제도를 인정할 수 있게 규정이나 조례를 협의해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