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말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조업을 폄하하는 풍조가 만연했다. 서비스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를 선진국으로 평가하던 시절이었다. 그때부터 선진국은 핵심기술만 보유하고 개발도상국에 제조를 도급하는 구조가 정착됐다.
하지만 채 20년도 지나지 않아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미국에서부터 `제조업 다시 보기`가 시작됐다. 아이러니하게도 대표적 제조 하도급 국가인 중국의 성장이 배경이다. 유럽 재정위기 사태에도 강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나홀로 성장`을 구가하는 독일 사례도 영향을 미쳤다.
세계 각국이 해외로 나가 있는 제조기업을 자국 품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제조 산업의 국가 경제 및 고용 기여도를 체감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 등 해외 생산기지를 자국으로 흡수해 향후 10여년간 연 800억∼1200억달러의 생산 증대와 300만명 규모 고용 창출을 기대한다. 대지진 피해를 본 일본도 환율 개입까지 시사하며 유턴 기업 흡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은 대만이다. 양안 개방 확대를 계기로 2009년 `유턴 투자 배증 금의환향 정책`을 시행했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완성품(세트) 제조산업이 발달하면 소재·부품 제조산업도 동반 성장한다. 과거 PC 제조 왕국에 등극했던 대만에서 IT부품 산업이 활황을 보인 것이 대표적이다. 물론 글로벌 소싱이 일반화하면서 일부 장점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같은 조건이라면 기업은 클러스터화를 원한다.
우리 정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유턴기업 지원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로 `업종별 유(U)턴 TF`를 발족했다는 소식이다. 유턴기업을 유치하려면 세금감면·규제완화 등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당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기업 프렌들리 정책 기조의 지속성에 대한 확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