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보호할 `방어형` IP 모델이 없다

중소기업을 보호할 `방어형` 지식재산(IP) 비즈니스 모델을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소기업은 자신이 만든 제품에 사용된 특허가 다른 특허를 침해하지 않았다는 보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모바일 플랫폼 기술을 개발한 김영수 라온엠씨 대표는 “중소기업은 흔히 특허가 많지 않아 다른 회사가 자기 특허를 침해하는 경우를 염두하지 않는다”며 “시장에서 자신의 특허로 인한 분쟁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방어형 IP모델은 IP 전문회사가 회원제 형식으로 고객 풀(Pool)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IP 전문회사가 보유한 특허를 라이선싱을 통해 업체 풀과 공유해 특허 관련 소송을 방지한다. 일종의 특허 보험에 가입하는 셈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아르피엑스(RPX)와 에이에스티(AST)가 회원제로 방어형 IP 모델을 선보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모델을 채택한 IP회사는 아직 없다. 서주원 이디리서치 대표는 “방어형 모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특허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RPX의 경우 특허 확보를 위해 5조원 규모의 펀딩 자금을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대표적 방어형 IP 전문회사인 RPX가 확보한 특허는 3000여개 이상으로 추정한다.

그나마 국내에서 방어형 IP모델을 준비하는 곳은 `인텔렉츄얼디스커버리(ID)`다. 하지만 특허 매입을 위한 자금 준비로 내년에나 회원제 형태의 방어형 IP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강순곤 ID 부사장은 “지금까지 ID가 보유한 특허는 700개로 멤버십을 구성해 고객업체 특허를 보호하려면 1000개 이상의 특허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