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11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안)`이 발표됐다.
지난 4월부터 4개월간 관계부처 국·과장급 회의 3회와 관계부처 공동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과거 어느 정부에서도 범 부처차원에서 머리를 맞대고 함께 산업관련 정책을 내놓은 적이 없다는 점에서도 산업융합에 대한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이번 계획안을 통해 정부는 `미래 대융합 시대의 글로벌 리더`라는 비전을 세웠다. 이를 통해 △인문과 기술의 소통으로 더 앞서가는 산업 강국 △건강하고 편리한 더 풍요로운 생활 부국 △인간과 자연이 동행하는 더 든든한 안심 대국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미래 생존의 열쇠 `융합`=스마트폰 시장을 두고 삼성, 애플, 구글 등의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됐다.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을 개척하며 글로벌 휴대폰시장 최강자로 급부상했지만 모토로라는 스마트폰 대응 미흡으로 휴대폰 시장에서 위상이 급추락했다.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등으로 이종 기술·산업 간 융합이 확산되는 `융합의 시대`에 대처하지 못하면 `미래` 자체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대표적 사례다.
미래는 기술(NBICs:NT, BT, IT, CS)과 인문학(문화, 예술)이 융합되어 산업, 개인, 사회가 유기적으로 소통하는 `대융합(All in one)` 사회로 발전할 전망이다.
산업은 IT, 제조, 건축, 농·축·수산, 문화·서비스 등 모든 산업의 경계가 사라지고 소비자가 원하는 가치를 만들어주는 산업융합이 예상된다. 환경변화에 최적화되어 변화하는 건물이나 IT가 농사를 짓는 365일 도시농부, 원하는 제품을 만들고 체험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제조+서비스의 복합 클러스터 등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개인들도 일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개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생각대로 이뤄지는 생활을 하게 된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가상주치의, 집에서 받는 최고의 맞춤교육, 가정 일을 돌보는 로봇 등도 보편화될 전망이다.
사회적으로도 재해·재난, 범죄, 에너지 부족, 환경오염 등의 걱정이 없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다. 생활 자체가 에너지원을 만드는 생활발전소, 현대도시가 석기시대 자연 속으로 들어가는 친환경 융합 환경, CCTV와 사물통신을 통한 안전한 보안환경 등 많은 것들이 변할 것이다.
이런 미래를 위해 우리는 무한 융합경쟁 시대에 우리 경제를 한단계 도약시키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한다.
현 주력산업을 프리미엄 산업으로 재편하고 이종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다양한 융합 신시장을 만들어가야 한다. 또 농림·수산 등 전통산업 부활과 친환경, 건강·복지, 문화·예술 등 다양한 사회적 수요도 해결해 가야 한다.
정부가 국가 융합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한 것도 이런 연장선이다.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한 `현재`=그동안 정부는 미래 대융합 사회 도래에 대응하기 위해 법·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부문별 융합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전반적인 산업융합 수준은 아직 미흡하고 융합 확산을 위한 정부 간 거버넌스 체계 등 인프라도 취약하는 평가다.
우선 전반적인 NBICs 융합 및 인문·기술 간 융합이 미흡하다.
철강·에너지 산업 등의 IT융합 기술은 선진국 대비 50~60%대에 머물러 있고 NT, BT 기반 융합은 주로 R&D 초기단계로 시장창출이 더디다. 또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했던 인문학, 디자인, 콘텐츠 등과의 소프트 융합은 매우 취약하다.
건강, 편리, 안전 등 국민생활 밀착형 IT융합도 아직 시작 단계고 친환경·에너지 수요 대응, 농업 혁신을 위한 융합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종·다종 간 융합제품과 서비스가 지속 출시되면서 기존 칸막이형 법·제도 시스템은 이를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이를 해소하기 위한 부처 간 협력 체계도 원활하지 못했다.
산업융합 컨트롤타워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현실의 벽 허물고 미래로=정부의 새로운 산업융합전략은 이런 현실적인 판단 아래 마련됐다.
정부는 핵심 융합기술 개발로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능형 로봇, 바이오 신약 등 미래 유망분야 핵심기술 조기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지능형 자동차, 조선·해양 플랜트, 스마트항공, 국방 등 4대 주력분야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SW와 결합한 미래 성장 동력형 100대 핵심부품 개발도 추진한다.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새 트렌드를 반영한 SW 융합형 핵심 기술 및 초연결 단말 핵심부품 등의 글로벌 경쟁력도 강화한다.
사물지능통신(M2M),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SN) 등 차세대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을 확충, 다양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하는 인간 지향적 스마트 융합서비스를 확산한다. 또 IT·BT·로봇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의료기기 기술역량을 강화하고 원격의료 및 건강·복지서비스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맞춤형 치료시대를 위해 BT·IT융합 대용량 유전체 정보기반도 구축해 개인 맞춤형 진단·치료기술 등을 개발한다.
국가 융합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산업융합발전위원회`도 구성해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위원회 산하에 전문위원회를 둬 지원 기능 강화와 상시적 지원체제 구축 등도 추진된다.
옴부즈만을 활용해 칸막이형 규제 및 관행을 적극 찾아내고 이종분야 융합 신제품과 서비스의 `적합성 인증제`도 확대 시행한다.
융합교육 촉진을 위해 기존 학과·전공 중심에서 인문학과 공학 간 융합형 교육시스템도 마련한다. 과제 기획부터 인문학, 디자인 등 다양한 융합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R&BD 체계도 마련된다.
이를 통해 삶의 질 지수(UNDP)를 2011년 15위에서 2017년 10위, 산업융합시장은 2011년 147조원에서 2017년 350조원, 융합형 인재는 2011년 2만7000명에서 2017년 5만명까지 늘려갈 계획이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제1차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