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열리는 18대 대통령 선거의 핵심 이슈로 `디지털 비전`이 부상했다. 여야는 올해 대선 판도에 후보의 미래비전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정책 수립에 무게를 둘 방침이다.
28일 여야 정치권은 신성장동력 발굴과 선순환 디지털 생태계 구축 정책 마련이 올해 대선의 핵심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최근 삼성전자가 완패한 애플과의 특허전쟁 결과도 정치권의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됐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이공계 출신 첫 유력 대통령 후보라는 타이틀에 맞게 관련 이슈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후보는 지난 19대 총선에서 이공계 출신 인사를 대거 발탁하는 등 대선 행보에 박차를 가했다.
여야가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정책은 정부 거버넌스 개편이다. 여야 가릴 것 없이 과학기술부 부활과 IT 독임부처 신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작은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부처를 통폐합했으나 오히려 정책 혼선과 경쟁력 약화를 초래했다는 평가다. 여야는 거버넌스 개편으로 지난 5년간 추락한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IT 경쟁력을 다시 일으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난 몇 년간 시장을 뒤흔든 스마트 혁명도 정치권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애플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시장을 혁신하는 반면에 국내 업체들은 단순한 제조업체로 머물렀다”며 “정책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디지털 생태계를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 같은 인식 아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할 방침이다.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 관련 단체도 과학기술 어젠더를 각 당에 전달하고 정책 수립을 촉구하기로 했다. 과총 한 관계자는 “대선 후보가 확정되고 선거 진용이 꾸려지면 과기계가 마련 중인 정책안을 각 당에 제출하고 차기 정부 과제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
권상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