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뷰` 지상파 채널·광고 쏠림 등 영향력 ↑···미디어 불균형 심화 불가피

KBS가 추진하는 `코리아뷰`는 미디어 생태계를 관통하는 충격파가 될 수밖에 없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때문에 KBS `코리아뷰` 허가는 실험방송을 위한 것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럼에도 KBS의 `코리아뷰`가 미디어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등 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지 않다며 경계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MMS(Multi-Mode Service)는?=`코리아뷰`는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MMS다. MMS는 한 개 방송 주파수 대역(6㎒)에서 고화질(HD) 및 일반화질(SD), 오디오, 데이터 채널 등 다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코리아뷰는 하나의 채널을 4개(1HD+3SD)의 채널로 늘려 방송하는 것이다.

KBS 1TV는 수도권에서는 9번 채널이지만 코리아뷰가 실시되면 9-1번, 9-2번, 9-3번, 9-4번 채널로 나뉘어 방송된다.

9-1번은 기존의 MPEG2 방식을 사용해 KBS 1TV를 고화질 HD(High Definition)로 방송하고, 나머지 채널은 MPEG4 방식을 사용해 SD(Standard Definition)급으로 방송하는 것. 즉, KBS가 다수의 채널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게 되는 셈이다.

◇“지상파 독과점 불가피”=`코리아뷰`는 KBS가 다수의 채널을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는 셈이다. KBS는 지상파를 통해, 그리고 지상파 계열사(PP)는 유료방송 플랫폼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코리아뷰가 도입되면 현재 유료방송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지상파 계열사 `킬러 콘텐츠`가 `코리아뷰`를 통해 제공된다.

무료 지상파 채널을 사용하는 만큼 시청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광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지상파로 광고 쏠림이 본격화될 경우 미디어 시장의 불균형은 심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케이블TV와 IPTV, 종편 등 유료방송사업자는 `코리아뷰` 도입은 미디어 시장의 형평성을 무너뜨릴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선 방송의 공공성 강화를 이유로 코리아뷰 등 무료인 지상파 채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결 과제 적지 않아…사회적 합의 전제돼야”=KBS가 `코리아뷰`를 상용화하더라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KBS 계열 PP는 콘텐츠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KBS 계열 PP의 KBS 콘텐츠 의존도는 절대적이다. KBS가 이같은 상황에도 콘텐츠 문제에 대한 대안없이 `코리아뷰`를 추진하는 것은 성급하다는 지적이다.

`코리아뷰`를 통한 지상파 채널 추가가 현실화되면 광고 독점이 가속화돼 일반 PP의 입지 축소가 불가피하다. 콘텐츠 다양화를 훼손, 시청자의 채널 선택권을 제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디지털 전환 이후 주파수 독점 논란도 불가피하다. `코리아뷰`는 KBS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유 주파수를 배타적으로 점유하고 지상파 채널을 확대하는 것으로, 공영방송의 공공성 추구와 배치된다는 것이다.

학계 전문가들은 “MMS가 기술적 트렌드임에는 틀림없다”고 전제했지만 “KBS의 `코리아뷰`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원배·전지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