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텀에벌루션(LTE) 대중화로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와이파이 난개발 문제가 다시 대두됐다.
통신사가 앞다퉈 차세대 와이파이 솔루션을 내놓고 있지만 기존처럼 액세스포인트(AP)만 늘려서는 데이터 분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부 차원 구축 가이드라인도 미비해 중복투자를 막을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는 최근 비슷한 지능형 와이파이 솔루션을 경쟁적으로 선보였다. 프리미엄 기가급 와이파이를 비롯해 단일 대역을 분리하고 묶는 `채널 본딩`, 복수 대역을 묶는 `듀얼밴드 브릿지`, 유휴대역 자동탐색 기능 같은 기술 개선부터 인증 시스템을 간편하게 바꾸는 정책까지 개발에 공을 들였다.
이처럼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에 집중하는 까닭은 와이파이가 트래픽 분산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 대안이기 때문이다.
2012년 10월 현재 통신 3사가 운영하는 전국 와이파이존은 20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와이파이존을 가장 많이 보유한 KT는 AP만 20만개로 이는 단일 사업자 중 세계 최고 수준이다. 최신 기술이 상용화되면 이들 AP에 대부분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수치가 오히려 와이파이 이용을 막는다고 입을 모은다. 무선 솔루션 개발 업체 한 사장은 “2.4㎓, 5.5㎓ 등 제한된 대역을 쓰는 AP가 좁은 공간에 마구잡이로 설치되면 간섭현상을 피하기 어렵다”며 “와이파이가 대규모 쇼핑몰 등에서 쓸 수 없을 정도로 느린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간섭을 막기 위해서는 최대 사업자인 통신사 간 협약이 필수다. 약속을 거쳐 구축 공간을 나누고 단일 AP에서 각 사업자 와이파이 신호를 동시에 발산하면 간섭효과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일본 KDDI, NTTBP, 소프트뱅크는 3세대(G) 통신 시절부터 와이파이 AP를 공유해 투자비용 절감과 트래픽 분산효과를 봤다.
이동통신 3사 역시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있지만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상황이다. 와이파이를 마케팅 수단으로 쓰는 등 3사 간 경쟁이 워낙 치열하기 때문이다.
통신사 한 임원은 “합의 하에 AP를 공동으로 쓰거나 주파수 라이선스를 부여해 사설 AP를 줄이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며 “차선책으로 그나마 깨끗한 대역을 찾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기술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3사 와이파이 구축 계획을 중재하거나 보다 강력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실정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와이파이 혼신 최소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3사 공동 와이파이존 1000여개 구축` 등 관련 정책을 이끌어냈지만 실제 효과를 보기는 어려운 선언적 조치에 그쳤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방통위 관계자는 “연내를 목표로 통신사와 추가 공동 와이파이존 설치를 논의 중”이라며 “와이파이 난립을 법적으로 규제하는 것보다는 통신사 자율로 설비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
김시소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