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상대적으로 역량이 부족한 이론 물리와 수학 분야를 육성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기초과학연구원(IBS)은 3차 연구단장 선정 때부터 국가 차원에서 육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연구 분야를 우선 지정해 해당 분야의 연구자를 발굴하는 방식을 도입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연구단장이 연구 분야를 정해 지원하는 기존의 선정방식과 병행된다.
국가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지정 연구 분야`는 기후환경 변화, 이론물리, 수학 분야다. 기후환경 변화에는 기후 물리·해양 생태계 영향 등 5개 분야, 이론물리는 입자 및 핵이론·천체물리학 및 우주론 등 8개 분야, 수학은 과학 계산·무작위성 등 5개 분야가 포함됐다.
지정 연구 분야의 연구단장 선정은 기존 방식과 동일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우선 내년 1월31일까지 접수된 후보를 대상으로 평가한다. IBS는 이와 함께 각 지역의 기초연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캠퍼스 특화분야`도 정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광기반 기초과학,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바이오-나노 융합, 울산과학기술대(UNIST)가 첨단 신소재를 특화하는 캠퍼스로 지정했다.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은 “국가 전체의 기초과학 강화를 위해 특정 분야를 발굴해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KAIST와 포항공대는 이미 기초과학 전 분야에서 종합적 역량을 갖추는 등 특성화의 실익이 없어 특화분야 지정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