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바이오연료 이용 엔진 저온연소 기술 개발

바이오디젤 연료를 이용해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대 90%까지 억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최태인) 그린동력연구실 오승묵 박사팀은 두산인프라코어, 포스텍과 공동으로 바이오디젤 연료를 엔진 저온연소 기술에 적용해 질소산화물과 입자상물질 배출을 기존 연료의 저온연소보다 90% 절감하면서 엔진 출력을 10%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오승묵 기계연구원 책임 연구원이 자동차 엔진 앞에서 유해물질 억제 원천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승묵 기계연구원 책임 연구원이 자동차 엔진 앞에서 유해물질 억제 원천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기술개발은 지식경제부 산업원천 연구개발사업인 `건설기계 저온연소 연료최적화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개발됐다.

이 기술은 콩 또는 야자로 만든 바이오디젤을 저온연소 기법과 접목해 후처리장치의 도움 없이 매연과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저감하는 기술이다. 엔진에서 바이오디젤의 연소 온도가 1630℃를 넘지 않도록 연료 분사시기와 재투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해 최적의 운전 영역을 찾아내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할 경우 유해물질 배출량을 미래 배출가스 규제 수준인 `유로 6`까지 낮추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승묵 그린동력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바이오디젤 연료를 이용한 저온연소 엔진 연구는 전무했다”며 “건설기계, 수송용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