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바이오부탄올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친환경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부탄올` 생산성을 기존 바이오에탄올 수준으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은 GS칼텍스, 바이오퓨얼켐과 공동으로 시스템대사공학 기법을 이용해 바이오부탄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공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KAIST 연구진이 바이오부탄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주목받고있다.바이오부탄올 생산 미생물인 클로스트리듐 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
KAIST 연구진이 바이오부탄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주목받고있다.바이오부탄올 생산 미생물인 클로스트리듐 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

바이오부탄올은 기존 가솔린 엔진에 그대로 쓸 수 있는 자동차 연료 첨가제다. 폐목재, 볏짚, 잉여 사탕수수, 해조류 등 비식용 바이오매스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시스템대사공학 기법을 이용해 바이오부탄올 생산 균주 수율을 기존 49%에서 87%까지 끌어올렸다. GS칼텍스와는 발효·분리공정 개발 연구를 수행해 흡착물질을 사용한 실시간 바이오부탄올 회수 및 제거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발효·분리공정 기술은 포도당 1.8㎏을 이용해 부탄올 585g을 생산할 수 있다. 한 시간에 리터당 부탄올을 1.3g 이상 생산한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는 현존하는 세계 최고 수준 농도, 수율, 생산성을 확보한 것”이라며 “발효 공정 생산성을 세 배 이상 향상시키면서 분리·정제 비용은 기존 대비 70%까지 절감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생물분야 국제 학술지인 `엠바이오(mBio)`지 9·10월호 대표논문으로 선정됐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