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무성이 데이터 통신량 급증에 대응하고 광섬유망 통신장애를 없애기 위한 새로운 기반기술을 민·관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가 12일 보도했다.
총무성은 이를 위해 내년부터 3년간 총 100억엔(약 137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NEC와 후지쯔 등이 개발을 주도한다고 밝혔다. 상용화는 2018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기술은 통신망에 전송되는 데이터 중 방재 정보 등 우선 순위가 있는 긴급한 정보를 판단해 먼저 처리하는 방식으로 통신망 과부하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정보를 `긴급정보` `영상` `메일` 등으로 구분하고 긴급정보나 대용량 데이터가 통신망에 나타나면 긴급하지 않은 데이터를 일시 대기시키는 등 `교통정리`를 해주는 방식이다.
정보의 긴급 정도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데이터 중계기기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해결 과제다. 특히 통신망 전체 지도를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통신망이 혼잡한 경우 긴급한 데이터를 최우선으로 최단 경로로 흘리는 한편 속도가 불필요한 개인 간의 메일 등은 우회 경로를 통해 전달한다.
스마트폰 보급 등으로 개인 사이에서도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일반적인 일이 되면서 통신망의 혼잡이 심각해지고 과부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일본 정부의 기술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