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에 맞춰 벤처 활성화 대책이 나온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온다. 1998년 이후 세 번째 종합 대책이다. 지난 15년 동안 가장 벤처 지원에 인색했던 현 정부에서의 답답함이 조금은 풀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마저 든다.
국민의 정부 시절 처음 나온 벤처 활성화 대책이 자금이나 기술 지원 등 주로 창업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창업에서 출발해 성장과 자금 회수를 거쳐 재창업까지 이어지는 생태계 전반을 아우른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우후죽순처럼 창업이 이어지면 산업 전반에 활기가 돌지만 `묻지마 투자`나 `벤처 거품` 등 부작용도 따른다. 생태계를 염두에 둔 지원 정책은 역기능을 줄일 수 있다. 새로 만드는 벤처 활성화 대책의 기대가 높아지는 대목이다. 벤처의 목표가 상장 일변도를 벗어나 인수합병이나 지분 매각으로 다양해진 현실도 반영했다.
수치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벤처는 매출액 증가율에서 대기업을 웃돈다. 이익률은 대기업보다 조금 낮지만 중소기업은 크게 앞지른다. 일자리 만들기는 벤처가 발군이다. 연구개발 투자비도 대기업과 중소기업보다 높다.
물론 청사진이 전부는 아니다. 부처 간 공조가 제대로 이루어질지 우려스럽다. 소득공제 비율 상향만 해도 기획재정부가 공감하지 않으면 보나 마나 도루묵이다. 참여 정부 시절인 2004년에 나온 2차 벤처 활성화 대책은 총리실이 주도해 관련 부처를 이끌었다. 새 정부 조직이 어떻게 개편될지는 미지수지만 개별 부처가 앞장서는 수준으로는 힘 있게 추진될 가능성이 낮다.
대선 과정에서 유력 후보는 하나 같이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 발굴을 강조했다. 정보기술 산업의 중요성도 인정했다. 결국 정보기술을 근간으로 한 벤처가 침체에 빠진 대한민국 경제의 믿음직한 구원투수라는 결론이 나온다.
말이 앞서는 선언은 쉽지만 추진력이 필요한 실천은 어렵다. 탄탄한 정책이 새 정부의 의지와 만나 구체적인 결실로 맺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