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겨울도 전력예비율과 블랙아웃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자주 들린다. 위기 극복을 위해 발전 분야가 예비율을 유지하려 불철주야 힘쓰고 있지만 전력회사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수용가의 발전자원, 열병합발전 등의 분산전원, 가스·집단에너지 사업자의 발전자원, 수용가의 에너지 절약, 스마트그리드, 발전소 건설, 요금제도 등으로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절실하다. 에너지믹스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것만이 전력난을 극복할 대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하계 전력피크 관리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비상발전기를 예비율 부문에 적극 참여시키는 등 제도를 개발하면 수요전력의 1.5% 수준인 100만㎾ 정도의 공급능력을 확충할 수 있다. 또 요금제도 개편으로 수용가의 자발적 부하 관리를 확대하면 5% 수준인 350만㎾를 고정공급능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역형 집단에너지(CES) 사업자 및 집단에너지 사업자와 신재생에너지 사업자 등 발전자원을 가지고 있는 가스회사, 지자체 등과도 합리적으로 가동 협약을 맺는다면 구조적으로 5∼7%의 수요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탈리아·독일 등 유럽 국가와 선진국들은 에너지효율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새로운 온실가스 감축 전략으로 에너지효율자원화(EERS: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 제도를 도입·활용한다. 우리도 EERS 제도를 도입하고 정부가 업종별 에너지진단(EA:Energy Audit) 전문화로 수용가의 합리적 에너지 이용을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을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고용을 늘리는 등 전력난 극복 과정에서 신기술을 활용한 산업 육성도 유도해야 한다. 이를 통합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선진국은 에너지관리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정착시켜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도 에너지경영(EnMS)을 전력위기 극복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 수용가 에너지설비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전력수요를 줄여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금 상황에서 에너지 공급자가 에너지 수요 관리에 참여하면 매출이 조금 줄어들 수 있어 효율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에는 구조적인 한계가 따른다. 기본적으로 효율 향상과 수요 관리는 정부가 맡고 요금제도와 연계한 부하 제어는 에너지 공급 주체가 전담하는 선진국형 통합 수요 관리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 정부도 이런 점을 인식하고 국내외 에너지 효율 제도의 올바른 정착과 산업계 확산을 유도해 에너지경영 전문컨설팅, 에너지효율 모니터링 소프트웨어(SW), 계측시스템 분야 등 에너지경영 분야를 새로운 산업 분야로 육성해야 한다.
최근 EnMS 도입 경향을 보면 미국·일본·프랑스·호주 등 14개국은 기업이 자체 적용 가능한 에너지효율지표를 공동 개발하는 국제상호인증제(GSEP)를 추진 중이다. 에너지성과지표(EnPI), 베이스라인 설정, 기능별 목표 수립, 주요 공정·설비별 에너지사용량 측정, 절감요인 분석, 모니터링, 데이터 신뢰도 관리 등 EnMS를 이용한 체계적 계량관리만으로도 10∼30%의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미래 계절적 전력난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의 분산된 발전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EERS, EnMS, EA, ESCO 육성을 위해 정부의 재정지원과 연계된 인센티브와 페널티 제도를 정립하고, 에너지믹스의 한계를 국가적 관점에서 설정해 요금 제도를 합리적으로 운용할 준비를 한다면 미래 전력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손학식 용인송담대학교 건축에너지학과 교수 hsson@ysc.ac.kr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