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밖에 안되는 극미세 크기를 제어하고 통제하는 첨단기술이다.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환경공학기술(ET)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국가 전략산업을 고도화시키는 미래 핵심기술인 셈이다.
정부는 2001년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지난 11년간 나노기술분야에 2조4000억원을 투입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 나노 강국에 올라섰다.
나노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중심에는 전국 6개 국가 나노인프라시설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가 각각 추진한 나노인프라 주요성과와 지속성장 방안에 대해 짚어본다.
◇국가나노인프라 구축 현황=정부는 총 6개의 국가나노인프라기관을 분야별, 지역별로 특화, 교과부는 나노종합팹(대전)과 한국나노기술원(수원)을 구축하고, 지경부는 나노기술집적센터(포항,광주, 전주)와 나노융합실용화센터(대구)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교과부는 신진과학연구자를 위한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과 나노팹시설을 활용한 대학생 이상을 대상 `나노기술전문인력양성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지경부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상용화를 전주기로 지원하는 `나노융합 상용화 플랫폼 활용사업`과 재직자 대상 `나노융합평생교육사업`, 고교생을 대상으로 나노기술인력을 양성해 취업까지 지원하는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을 수행 중이다.
◇장비구축 및 활용 성과 `합격점`=2002년부터 지난 3월까지 약 10년동안 국가인프라에는 총 7770억원이 투입돼 장비 및 시설 구축이 마무리됐다. 이들 장비를 활용한 실적은 18만5000건이며, 장비 이용수입은 837억8600만원에 달하며, 산·학·연 이용자수만 1만2151건이다. 장비 평균 가동율은 50%를 상회하고 있다.
나노기술 인력양성과 특허출원 성과도 만만찮다. 교과부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센터와 지경부 특성화고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통해 9000여명의 전문인력이 배출됐다. 나노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150건이며 특허등록은 37건이다. 또 SCI(국제과학기술논문색인)를 포함한 국내외 논문 게재건수는 총 356건, 기술이전도 11건이다.
◇자립화 가능성 확인=향후 10년 뒤 우리나라가 나노기술 세계 1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나노인프라에 대한 지속투자와 자립화 방안이 요구된다.
나노인프라의 운영비 자립화는 지난해 기준으로 어느정도 성공적이다. 자체 수입과 운영비로 볼때 한국나노기술원은 자립률이 106.6%이며, 대구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114%에 달한다. 대다수 나노인프라가 자립화에 근접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자체 수입에는 정부가 지원하는 교육사업과 바우처사업, 나노융합상용화플랫폼사업 등 정부 간접지원사업비가 포함돼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연구장비의 노후화와 감가상각에 대한 정부의 장비 고도화 사업비 지원, 선도기술개발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자립화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진다.
◇인프라 역할 재정립이 지속성장 담보=나노기술 산업화의 구심점 역할을 위해 나노인프라도 전략마련에 나섰다. 지난 10여년간 쌓은 성과를 토대로 사업과 경영분야에서 지속성장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사업분야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특화기술 확보, 공공서비스 고도화 및 재원 확보, 사업화 및 지역연계 강화를 통한 투자효과 극대화 등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은 인프라별 플랫폼 기술 확보다. 지역별 특화산업 및 광역경제권선도산업에 부합하는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공공서비스고도화는 노후된 장비와 선도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비를 마련하고, 지적재산권(IPR) 창출 및 소량생산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운영비 절감, 팹시설 공통경비절감 등 지출을 최소한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경영분야는 조직과 인사, 성과관리 등 경영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인사 및 성과관리는 총액 인건비제 도입, 인력 재배치를 통한 인건비 상승 억제, 임금피크제 도입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
나노인프라기관명/투자비/분야/주관기관
나노종합팹센터(대전)/2876억원/실리콘계 CMOS일괄공정/KAIST
한국나노기술원(수원)/1615억원/비실리콘계 CMOS일괄공정/독립재단법인
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1129억원/차세대반도체 패터닝 OLED소재/포항공대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747억원/차세대 디스플레이 패터닝 유연, 인쇄전자/전자부품연구원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795억원/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증착, 확산장비/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구나노융합실용화센터/610억원/나노기술응용 복합소재 및 부품기술/대구테크노파크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전국 6개 국가나노인프라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