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성장동력 R&D 지식포럼]<특별기고>R&D 그라운드에 미드필더를 보강하자

오늘날 기술 변화는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전개된다. 글로벌 경쟁 사회에서 기술 수명주기는 갈수록 단축되고 혁신 융복합화와 거대화 현상이 심화됐다.

[미래 신성장동력 R&D 지식포럼]<특별기고>R&D 그라운드에 미드필더를 보강하자

치열한 경쟁 구도와 세계 경제 둔화 속에서도 우리나라는 무역 규모 1조달러라는 성과를 이뤘다. 앞으로 `2020년까지 무역 2조달러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루고 세계적 기업과 나란히 경쟁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연구개발(R&D) 활동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2011년 기준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 규모는 50조원에 달한다. 이 중에서 정부가 투입한 예산은 약 15조원가량으로 국내 총생산 대비 세계 2위 수준이다.

정부와 민간이 R&D 활동을 확대하고자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R&D 활동을 통한 기술개발 성과가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고 고용창출과 매출증대로 이어지는 국가 생산요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생각해 볼 문제는 연구개발 주체의 편중 현상이다. 2011년 연구주체별 정부가 투입한 R&D 예산 통계를 살펴보면 약 64%가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에 투입됐다. 그나마 기업에 투입된 예산도 대기업 위주로 중견·중소기업들은 소외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R&D 플레이어 풀이 너무나 제한적이다. 그나마도 대기업, 정부 출연연구소 중심 R&D 플레이어가 대부분이다. 축구에 비유하면 공격수와 수비수는 있지만 중간 허리 역할을 하는 중간 공격수와 수비수, 즉 미드필더가 상당히 약한 구조다.

무역 규모 2조달러라는 위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 핵심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다. 미래 글로벌 시장에서 변화무쌍한 산업·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활발한 R&D 활동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소수 대기업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건강한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가경제의 허리격인 중소·중견기업군의 R&D 역량을 확대하는 것은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국내 중소기업은 정부 R&D 사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중소기업청 조사에 따르면 R&D 수행 단계별 느끼는 애로사항은 과제기획 23.6%, 기술개발 21.7%, 기관 간 협력이 17.5% 순이다.

인력, 역량, 인프라 부족이 중소기업 발목을 잡고 있다. 우리나라가 왜 중간규모 기업군이 취약한 첨탑형 산업구조를 이루는가를 대변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R&D사업 진입 문턱을 낮추고 혁신적 성과에 충분한 보상 혜택을 주어 진정한 경쟁력이 싹트도록 토양을 다져왔다. 더 나아가 동반성장 R&D에 대한 기술지원, 대·중소 R&D 상생협력 정보 공유 등 다양한 노력을 펼쳤다.

그 일환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과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한 `미래 신성장동력 R&D 지식포럼`이 지닌 의의는 남다르다. 중소·중견기업이 새로운 시장 진입을 위한 기회를 모색하고 정부 R&D 사업 참여 의욕을 고취시키는 목적으로 마련된 자리이기 때문이다. 2013년도 지식경제부 R&D 세부 추진전략을 공유해 창의·소통·융합 R&D를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기섭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