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관한 책이 하나의 트렌드로 등장하고 있다. 마흔을 중년으로 보고 중년 즈음에 돌이켜보고 다시 생각해 볼만 화두를 던져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중년의 의미를 성찰하게 만드는 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흔히 중년은 마흔이 되기까지 앞만 보고 달려와서 삶의 의미와 가치, 내가 왜 무엇을 위해 사는지 조차도 진지하게 스스로에 물어봄 없이 달려온 삶이라서 중년에 생각해보는 인생의 의미는 남다르게 다가온다.
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곧 건강 100세 시대가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사람마다 좀 다르겠지만 중년하면 마흔을 의미한다. 마흔을 넘어서기 시작하면 2-30대의 청춘 열정과는 다른 각도에서 중년의 중후한 의미를 되새겨보는 시점이다. 중년은 `중심`과 `중반`에서 `중후`한 인생의 멋을 즐기는 나이다. `나이`는 `나 이제`부터 스스로 알아서 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내가 중심이 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살았고, 앞단 보고 달려왔으며, 이런 저런 경험을 쌓느냐고 정신없이 살아왔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나를 중심에 두고, 인생의 중반에서 후반전을 생각하면서, 그동안 깨달은 소중한 삶의 교훈을 기반으로 중후한 멋을 즐겨야 될 시점이다. 중년을 맞이하는 분과 지금 중년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갑자기 중년은 무거운 의미와 부담감으로 다가올 수 있다. 마흔이 불혹(不惑)의 나이라고 하지만 나는 유혹(誘惑)의 나이라고 생각한다. 마흔은 나를 유혹하는 그 누구나 무엇에 이끌려 빠지는 나이는 지났다는 점에서 불혹이다. 하지만 그 동안 축적해온 나의 전문성과 재능, 나의 칼라와 고유한 정체성으로 다른 사람을 본격적으로 유혹하는 나이가 마흔이 아닐까.
그래서 불혹의 나이 마흔은 자기를 드러낼 수 있는 콘텐츠와 함께 인생의 부록(附錄)을 다시 쓰는 나이라고 생각한다. 마흔이 주는 의미는 서른 살의 젊음과는 다르지만 연륜과 경험을 자기만의 칼라와 스타일로 서서히 갈무리를 하면서 마이 웨이의 포물선을 넘어서는 중요한 시점이 아닐 수 없다.
유영만 한양대 교육공학과 교수 010000@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