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은 대표적인 신재쟁에너지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에너지를 대체할 청정에너지로 각광받으면서도 천덕꾸러기 신세다. 햇빛과 바람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은 사용자가 원하면 아무 때나 만들 수 있는 성격의 에너지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태양광발전은 해가 떠있는 동안에만 발전이 가능하고 풍력발전도 어느 정도 세기의 바람이 불어줘야 전기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전기는 저장이 되지 않는 까닭에 필요한 양을 예측한 후 원자력발전사나 석탄화력발전사 등에 발전명령을 내려 발전한 후 수용가에 보내준다.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은 발전량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원자력이나 석탄화력 같은 기저발전(기반발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런 특성 때문에 전력업계는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을 악성전원이라고 부른다. 악성전원인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발전한 에너지를 모았다가 필요할 때 안정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그것이다.
18일 지식경제부가 앞으로 5년간 중대형 ESS 실증사업에 3000억원을 투입한다는 소식이다. 중장기적인 전력피크에 대응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확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ESS는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햇빛 강도나 바람세기에 따라 출력이 불규칙한 전기를 저장해 안정적으로 전력망에 연계할 수 있어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조기 실현에도 필수적인 요소다.
실증사업은 수십㎿ 이상의 대규모 ESS를 국내에서 실증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100㎿급 압축공기저장시스템과 54㎿급 리튬이온전지 실증 등 두 가지로 전개된다.
ESS는 분산형 전원을 구성하는 핵심 기술이자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도 각광을 받는 분야다. 실증사업은 5년 동안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함은 물론이고 실증사업으로 끝나서도 안 된다. 실증사업 기간에 문제점을 발굴하고 극복해서 반드시 상용화 사업으로 확산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