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공공기관·중소기업이 힘을 합해 수입에 의존해 온 부품·장비를 국산화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수요기업인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수입제품을 쓸 때보다 시간과 비용 부담이 줄어 좋다. 중소기업은 부품이나 장비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투자지원을 받음은 물론이고 제품 수요처까지 확보할 수 있게 돼 일거양득인 셈이다.
이번 사례는 정부와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이 지원한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결과다. 과거에도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수입대체 부품 개발 협력이 있었다. 당시에는 중소기업이 외산 제품 도면을 보고 제품을 복사해서 수입을 대체하는 주먹구구식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정부와 기업·공공기관이 공동으로 연구개발(R&D) 자금을 조성해 상용기술 개발에 힘을 합한다는 면에서 차원이 다르다. 공동 개발한 제품을 수요기업이나 기관이 모두 구매해야하는 구매조건부 R&D는 아니지만 막대한 자금을 공동부담하기 때문에 사실상 R&D 결과물이 수입을 대체하는 셈이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수요처까지 얻게 돼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대기업도 중소기업 기술력이 높아지면 값비싼 외산 제품 의존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R&D 시행착오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육성한다는 측면과 만성적인 부품소재 무역수지 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 중 하나를 실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 대중소기업 간 신뢰가 두터워지고 대중소 상생이 윈윈모델로 발전하고 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정부가 중간에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대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상생 생태계를 만드는 계기가 됐다.
아직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대기업과 공공기관은 각각 여덟 곳과 열 곳에 불과하지만 더 많은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윈윈모델을 확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