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올해 네트워크 장비 구매계획이 오는 3월 공개된다.
올해 통신사 장비 구매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통신사 구매규모에 `한해 농사`가 좌우돼 통신장비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가 통신 3사 공동 수요예보를 위한 사전작업에 착수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네트워크장비 산업 실태조사를 시작한 데 이어 상반기 통신 3사 공동 수요예보 설명회를 가질 방침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통신 3사 공동 수요예보 설명회를 상반기에 진행할 계획”이라며 “지난해보다(3월 28일) 일정을 앞당기거나 공개 범위를 넓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2012년 네트워크 산업 실태 조사 연장선에서 올해 수요예보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해 통신장비 판매, 구매 실적을 취합한 후 올해 예상 구매 규모를 파악해 산업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기회로 삼는다.
통신 3사 공동 수요예보제는 대형 통신사와 중소·중견 통신장비 업계 동반 상생 차원에서 2012년 처음 실시됐다. 당시 통신 3사는 교환, 전송, 가입자, 이동통신 각 분야에서 KT 7000억원, SKT·SKB 6000억원 이상, LG유플러스가 3000억원 총 1조6000억원 이상 구매계획을 밝혔다. 주로 국내 업체가 공급하는 분야에 초점을 맞춰 효과를 높였다.
올해 통신 3사는 지난해 수준에 준하거나 다소 못 미치는 구매 계획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롱텀에벌루션(LTE) 전국망 구축이 마무리되는 등 대규모 물량을 투입하는 사업이 마무리 단계고 투자 여력도 다소 떨어졌기 때문이다.
일부 통신사는 지난해 연말부터 네트워크 유지보수 관련 물량을 축소하는 등 긴축재정 움직임도 보였다.
통신사 관계자는 “현재 구매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라 구체적인 수치는 밝히긴 어렵지만,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새 정부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전담부처 설립 논의가 이어지는 등 상반기 정부 조직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변수다.
업계 관계자는 “방통위가 정부조직 개편의 중심에 놓이면서 자칫 수요예보제가 실종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며 “중소·중견업체의 사업 가시성을 밝힌다는 취지에 맞게 발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
김시소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