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본 우편사업 2년 연속 적자…`우정청` 논의에 변수되나

우정사업본부 우편 사업이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편 물량이 감소하는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소속 부처 변경과 우정청 승격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10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소속기관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는 지난해 우편사업 부문 적자가 확실시된다. 지난 2011년 439억원 적자에 이어 2년 연속이다. 그나마 지난 연말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우편 물량이 늘어나 적자 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 실적은 이달 말 나온다.

우본 사업은 우편물 접수운송·배달, 택배, 국제특송을 수행하는 `우편`과 예금, 보험을 중심으로 한 `금융` 2개 분야다. 이 가운데 금융 사업은 흑자를 유지하지만 우본의 뿌리인 우편 사업은 부진을 면치 못한다.

원인은 우편 물량 감소다. 이메일, 모바일 메신저 등 정보통신 매체가 발달하면서 우편 물량이 줄었다. 지난 2002년 55억통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지금은 48억통 수준으로 떨어졌다.

문제는 우편이 보편적 서비스여서 민간 기업 방식의 사업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1년에 단 몇 통만 배달하는 산간·도서 지역이라도 우편서비스망을 폐쇄할 수 없다. 인구 수에 따라 지점망을 수시로 통폐합하는 민간 기업과 사정이 다르다.

우표 값(270원)도 OECD국가 중 가장 저렴하다. 보편적 서비스라는 이유로 올리기도 어렵다. 적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취할 수단 자체가 부족하다. 지난 10년간 꾸준한 업무 정보화를 통해 서비스 프로세스를 효율화했지만 한계가 있다. 일단 우본은 금융 사업에서 얻은 흑자로 전체 경영수지를 맞춰간다. 우본 전체 경영수지는 지난해에도 흑자가 예상됐다.

우본 관계자는 “일각에서 금융사업을 분리하라고 주장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당장 우편사업 정부 예산을 늘리거나 요금을 인상해야 한다”며 “결국 국민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우본 경영 효율화를 꾀하되 보편적 서비스라는 속성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행 중인 조직개편 논의도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뜻이다. 대통령 인수위 안팎엔 우본 소속 부처 변경과 우정청 승격 등을 놓고 논의가 활발하다.

임승빈 명지대 교수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현 우본 체제는 사업 운영상 자율성이 부족하다”며 “기업형 자율 경영을 보장하는 독립형 우정청 승격을 통한 서비스 효율 극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단위:억원)

(단위:천통)

※자료:우정사업본부

우본 우편사업 2년 연속 적자…`우정청` 논의에 변수되나

우본 우편사업 2년 연속 적자…`우정청` 논의에 변수되나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