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툰 성공 장르소설에서 재현…디지털 콘텐츠 유통 주도권 경쟁도 점점 치열해진다

네이버 웹툰 성공 신화를 장르소설에서 재현한다.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NHN(대표 김상헌)은 15일 무협·로맨스·판타지 등 장르소설을 연재하며 창작자가 대중 독자를 만나는 콘텐츠 유통 플랫폼 `네이버 웹소설`을 열었다.

네이버, 웹툰 성공 장르소설에서 재현…디지털 콘텐츠 유통 주도권 경쟁도 점점 치열해진다

네이버에서 많은 사람이 장르소설을 접하게 해 저변을 넓히고 창작 환경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만화 작가 등용문으로 자리잡은 웹툰 성공 방정식을 장르소설에 대입했다. 금강·백묘·손제호 등 인기 작가 작품을 정해진 요일에 연재한다.

누구나 창작 소설을 올리는 `챌린지 리그`를 운영, 역량 있는 아마추어 작가가 독자를 만나는 장을 마련한다. 웹툰 `도전만화` 코너와 유사하다. 고료를 지급하고 미리보기나 완결보기를 유료화할 수 있게 해 작가가 다양하게 수익을 얻도록 배려했다. 2차 저작권도 작가에게 일임하고 영화나 드라마 제작도 지원한다. 모바일에 맞게 디자인했다.

한성숙 네이버서비스1본부장은 “네이버 웹툰으로 수백 명의 웹툰 작가가 탄생한 것처럼 웹소설 서비스로 더 많은 장르소설 지망생이 등단하기를 기대한다”며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가 웹툰에 이어 장르소설 생태계 활성화에 나서면서 모바일 콘텐츠 유통 플랫폼 `카카오 페이지`를 준비하는 카카오와 디지털 콘텐츠 유통 경쟁도 심화될 전망이다. 두 회사 모두 네이버와 카카오톡의 방대한 사용자층을 바탕으로 창작자가 소비자를 만나 수익을 얻고 안정된 창작 환경을 누리는 플랫폼을 지향한다.

네이버는 유무선 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어느 정도 작가와 작품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무료로 즐긴다. 카카오는 모바일 환경에서 누구나 콘텐츠를 제작해 올리고, 유료 콘텐츠 판매 실적에 따라 수익을 거두는 개방형 구조다.

장르문학계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시장 규모를 키우면서 작가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반면, 네이버에 작가와 작품이 집중되면서 기존 서비스가 고사하리란 우려도 나왔다. 네이버 웹소설 서비스로 새로 생길 독자층의 10%만 유료 독자로 전환해도 전자책 시장 판도가 바뀌리란 예상이다.

금강 작가는 “네이버라는 큰 무대에서 더 많은 독자를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기존 장르문학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하며 부정적 효과는 줄여나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