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래부 차관, 정통 관료가 좋다

19일 발표된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인선의 백미는 최순홍 미래전략수석 발탁으로 꼽힌다.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에 이어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가 선임됐다. 미래 창조 한국을 밝힐 중책에 테크노크라트가 중용됐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테크노크라트 특유의 전문성과 식견으로 대한민국의 비전을 세울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미국 등 선진국은 이미 테크노크라트가 요직을 차지해 미래 정책을 주도하고 관료 사회 혁신을 이끈다. 여전히 기술 관료를 천시하는 우리 공무원 사회에 이들의 등장이 조직문화를 일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 내정자와 최 수석의 글로벌 마인드도 기대감을 높인다. 글로벌 ICT 기업과 국제기구에서 체득한 노하우가 우리 정부 정책 수립과정에 좋은 거름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 중심의 정책이 글로벌 시장까지 바라보는 큰 비전으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이 높다. 바야흐로 글로벌 시대를 맞아 한국 정부와 사회가 한 번 더 도약하는 자극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우려도 적지 않다. 우선 국내 사정을 잘 모르는데다 조직을 추슬러갈 인맥이나 네트워킹이 약하다는 점이다. 과거 새 정부의 좋은 비전도 실제 현업에서 실행해야 할 하급 관료나 공무원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실패한 사례도 많다. 텃세가 심한 공직사회에서는 강력한 조직 장악력도 중요하다.

한편에서는 장관과 수석이 모두 ICT 전문가로 채워지면서 과학기술이 홀대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장관이나 수석 인선의 단점을 보완할 차관 등 후속인사가 그만큼 중요해진 셈이다.

관계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정통 관료의 발탁은 그런 점에서 설득력이 높다. 신생부처인 미래부는 초반 조직 안정화도 급선무다. 관료문화를 잘 알고 조직 장악력까지 갖춘 인사면 안성맞춤이다. 박근혜 정부는 미래부 성공을 위해 차관급 인사에 장관이나 수석만큼 공을 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