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신임 장관들이 `국민 행복`과 `민생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포부를 밝히며 11일 일제히 공식 취임식을 가졌다.
윤상직 신임 지식경제부 장관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임명장을 받은 뒤 오후 4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지경부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식을 가졌다. 아직 정부조직법이 처리되지 않아 임명장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아닌 지식경제부 장관 명의로 받았다.
윤 장관은 취임과 동시에 현장 행보를 이어가기로 했다.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와 환율 변동으로 인한 수출 리스크를 점검하고, 대기업·중소기업·소상공인이 상생하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현장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현장에서 찾겠다는 취지다.
윤 장관은 취임사에서 “현장을 지속 점검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사전에 철저히 분석·평가한 후 보완대책과 함께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번 주 중견 수출기업, 중소기업, 전통시장, 중소유통물류센터 등 다양한 현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내부적으로는 외교통상부에서 넘겨받을 통상 업무에 관한 전문성을 높이는데 힘쓴다. 윤 장관은 취임 이후 통상 업무 연착륙을 위해 내부 전문성 강화, 새로 합류하는 외교통상부 인력과 융합 등에 많은 비중을 할애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진룡 신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문화 행정을 펼친다는 계획을 밝혔다. 새 정부가 내건 창조경제와 국민행복, 문화융성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가 돼야 한다는 입장에서다. 문화가 미래 먹거리 창출 효과나 메달 개수, 누적 관광객 등 경제적 잣대가 아닌 국민 개개인의 행복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부처 간 업무 협력도 강조했다. 유 장관은 미래부로 이관하는 디지털콘텐츠 업무를 예로 들며 “디지털이냐 아날로그, 원천기술이나 융합기술이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며 “산업 발전을 위해 부처간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게임 산업 규제도 여성가족부와 소통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윤성규 신임 환경부장관은 취임사에서 환경복지의 실현을 강조했다. 윤 장관은 “환경복지에 대한 국민 요구 수준이 그간 환경부의 노력을 능가할 정도로 급속히 퍼지고 있다”며 “지금의 성과 발전과 새로운 과제 발굴로 모든 국민이 환경복지를 골고루 누리도록 해 환경보전의 모범국가 기틀을 다지자”고 말했다.
에너지 정책에서는 자원빈국의 상황을 고려해 자원과 에너지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사용수명은 최장화하는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에너지 관련 환경규제의 재편 및 혁신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최근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유해환경물질 누출 사고에 대해선 가해자 배상의 원칙도 철저히 해 일벌백계의 의사를 분명히 했다. 환경정책은 경제발전, 환경보전, 사회적 평등의 세 축을 통합하는 국토관리를 이끌어 간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