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출범 한달…실물경제 주무부처 `눈도장`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산업통상자원부 출범 한 달 주요 발자취

옛 지식경제부에서 산업 통상형 부처로 변모한 산업통상자원부가 25일 출범 한 달을 맞는다. 박근혜정부 조각이 지연되는 사이 산업부는 실물경제 주무 부처로서 확실한 눈도장을 찍었다는 평가다. 동반성장 정책을 구체화하는 동시에 에너지와 FTA 등 민감한 현안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는 과제로 지적됐다.

산업부 출범 한달…실물경제 주무부처 `눈도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지난달 2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현판식에서 부처를 상징하는 깃발을 흔들고 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지난달 2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현판식에서 부처를 상징하는 깃발을 흔들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달 2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현판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청사 맞은편에 위치한 미래창조과학부가 정부조직법과 장관 임명 문제로 이달 19일에야 현판식을 연 것과 비교하면 한참을 앞서 나간 셈이다. 장차관 모두 내부 승진해 업무 연속성을 꾀하는 데도 유리했다.

산업부를 이를 십분 활용해 지난 한 달간 공격적인 행보를 취했다. 미래부를 비롯해 타 부처가 제 기능을 못하는 사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공론화하며 초기 박근혜정부의 프런티어 역할을 수행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도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지난달 25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대기업 불공정 납품단가 인하 실태조사 방침을 밝힌 데 이어 27일엔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대기업의 `가격 후려치기`를 직접적으로 비난했다. 이어 이달 초에는 30대 그룹의 149조원 투자계획 발표를 이끌어냈다.

현장 행보도 돋보였다. 장관이 현장을 중시하자 차관과 실국장도 사무실에만 머물지 않았다. 뿌리기업, 부품기업, 전통시장, 소셜벤처기업 등 다양한 현장에서 간담회가 열렸다. 박근혜정부 조각 지연으로 자칫 행정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실물경제에 관해서만큼은 허점을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의 관건은 그간 산업부가 던진 어젠다를 구체화하고 정책으로 현실화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동반성장이다. 동반성장은 매 정권마다 풀지 못한 숙제다. 좋은 정책을 만들기도 어렵고, 정책을 내놓더라도 실제 현장에 반영하기가 쉽지 않다.

산업부 관계자는 “과제를 구체화하고 현장의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집행력을 갖추는 것이 고민”이라고 전했다.

에너지와 유통 등 크고 작은 돌발 이슈가 많은 분야의 해법 찾기도 고민거리다. 윤 장관이 밀양 송전탑을 가장 시급한 문제로 꼽을 정도로 에너지 분야는 이슈가 많다. 땜질식 단기 처방이 아닌 중장기 발전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유통산업 선진화도 마찬가지다.

15년 만에 부활한 `산업+통상` 체제의 존재 가치도 입증해야 한다. 단기간에 성과를 보이기 힘든 통상 특성상 시너지 효과를 구체화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옛 지경부 출신 인사는 “산업부가 통상 분야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으면 분명 5년 뒤 통상 조직 재분리가 공론화될 것”이라며 “이는 결국 국가 차원에서도 큰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