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에 기술산업계엔 두 가지 의미 있는 행사가 있다. 하나는 23일 발족한 창조경제포럼 이다. 다른 하나는 2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간 업무 분담 양해각서(MOU) 교환이다. 민간엔 자발적인 `싱크탱크`가 떴다. 관가엔 정책 공조가 이뤄진다. 공통 키워드는 `창조경제 구현`이다.
정부 부처 간 MOU라는 게 조금 낯설다. 신규 사업을 위한 MOU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이처럼 업무 조정을 위한 것은 처음이다. 엉망이 된 정부조직 개편 탓이 컸지만 어쨌든 MOU를 통해서라도 고쳐나가겠다는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두 부처는 창조경제 지렛대인 정보통신기술(ICT)을 둘러싼 업무 중복과 이중 규제, 정책 지연과 사각지대를 없애도록 노력해야 한다.
새 정부가 창조경제를 표방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향과 실행 계획을 제시하지 못했다. 그래서 산업계는 물론이고 정부 내에도 혼선을 빚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창조경제포럼이 발족했다. 정부에 큰 힘이 될 것이다.
정부와 창조경제포럼은 창조경제 구현을 향해 같이 굴러가는 두 바퀴여야 한다. 정부는 포럼의 열린 생각과 상상력을 수용해 정책으로 제 때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창조경제 주역인 개인과 기업을 움직일 수 있다.
포럼은 이날 제시한 제언을 더욱 구체화해 정부에 전달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부족한 정책 창조력을 키울 수 있다. 이 점에서 포럼이 다음달 중 내놓을 열 가지 어젠다에 걸친 세부 실행계획에 기대가 크다.
또 정파, 분야, 연령을 초월한 열린 전문가 포럼을 지향한다고 하니 미래 활동도 더욱 기대된다.
창조경제포럼은 정부와 산업계간 소통 창구여야 한다. 현장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정부에 전달해야 한다. 또 정부 정책 방향을 산업계가 읽고 대응할 수 있도록 알려줘야 한다. 포럼이 이러한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할 때 오해와 혼선이 사라지며 창조경제 실현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