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서울형 녹색기업 육성을 위한 노력

기후변화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다. 세계 각국은 에너지 관련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서울시는 국가 전체의 10.9%에 달하는 에너지 다소비 도시에서 녹색에너지 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원전 하나 줄이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최근에는 박원순 시장이 기후변화세계시장협의회(WMCCC) 의장으로 선출되며 향후 세계 환경 문제에 서울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ET단상]서울형 녹색기업 육성을 위한 노력

서울시는 2014년까지 200만석유환산톤(toe)을 절감해 원전 하나를 줄이는 대체효과를 내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6개 분야 78개 사업이 다각도로 진행 중이며 그 성과도 실행 기간에 비해 만족할만한 수준이다. 2012년 절감목표였던 41만toe 중 33만toe를 감축해 약 80%의 목표를 이뤄냈다. 에코 마일리지, 에너지수호천사단, 에너지 클리닉 등 시민참여 프로그램으로 시민 공감대도 얻고 있다.

하지만, 녹색에너지 도시의 초석을 닦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수한 녹색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원전 하나 줄이기`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과 시민인식 제고에 더해 에너지절감 녹색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 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적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이에 발맞춰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이하 SBA) 산하에 2011년 신설된 녹색산업지원센터는 서울형 4대 녹색산업인 LED, 신재생에너지, 녹색건축, 그린카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녹색산업은 아직 시작단계다. 관련 기업들은 영세한 경우가 많고 특히 서울 소재 녹색기업의 99%가 30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도움이 필요하다.

서울시와 SBA 녹색산업지원센터는 녹색중소기업에 경영 컨설팅, 국내외 판로 개척, 투자유치 지원, 특허출원 등 서울형 녹색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에는 그 지원 범위를 더욱 넓혀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 정책 방향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간주도 산학연 협의체다. 대중소 협업 비즈니스 모델을 담당한다. 중소기업과 마찬가지로 대기업도 녹색산업 진출을 어려워한다. 사업을 위한 적절한 기술과 제품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대기업 사업 의지와 중소기업 우수기술의 매칭이 중요하다. 중소기업은 판로를, 대기업은 사업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대중소 협업에 따른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이다. 지원기관별 특화·전문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녹색중소기업에 제공해 중견기업으로 성장시키고, 향후 자립형 기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사업을 구상한다. 협업과 지원으로 녹색중기를 중견기업으로 키우고 자생력을 확보한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는 생태계가 서울시 녹색정책의 큰 그림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녹색업계에는 정책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태양광 산업의 구조조정 속에 정부 정책기조에 대한 우려는 당연하다. 특히 녹색산업은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그 불안감도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절망적이지는 않다. 서울시의 `원전 하나 줄이기` 정책과 같이 과감한 투자와 지원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면 서울형 녹색기업은 점차 그 자리를 확고히 다져갈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녹색산업지원센터와 같은 기관을 통해서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을 꾸준히 제공받는다면 녹색중소기업의 성장에 크나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21세기 화두는 여전히 녹색경제다. 이에 서울시가 주요 도시로서 면모를 확실히 보여주기 위해 녹색산업 육성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녹색중소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실천한다면 서울시 녹색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문종현 SBA 정책사업본부장 moonjh@sba.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