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시중 6개 은행의 1인당 생산성이 급감했다. 1인당 연봉 증가율이 자산 증가율의 3배를 넘어 은행의 가장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기업 경영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신한·KB국민·우리 등 국내 6개 은행을 조사한 결과 1인당 자산 증가율은 10.7%를 기록한 반면 연봉 증가율은 3배에 육박한 32.7%에 달했다. 특히 신한은행은 4년간 연봉 증가율이 30%를 상회했지만 1인당 자산 총액은 쪼그라들어 6개 은행 중 최악의 생산성을 기록했다. 반면 기업은행은 6개 은행 중 유일하게 연봉 증가율이 한자리 수에 머물렀지만 자산은 가장 많이 늘려 생산성 1위를 기록했다.
6개 시중은행의 2012년 1인당 평균 자산액은 214억원으로 2009년 194억원에 비해 10.7% 늘었다. 지난해 평균 연봉은 7600만원으로 2009년 5700만원 보다 32.7%가 늘었다.
은행 직원의 작년 말 기준 평균 연봉 수준은 국내 10대 그룹 대표기업의 평균 연봉 6600만원보다 1000만원이 더 높고 증가율도 10대 그룹 대표기업의 30.4%보다 앞섰다. 10대 그룹 대표 기업에 비해 1인당 생산성은 크게 뒤졌다. 작년 말 10대 그룹 대표기업 직원들의 1인당 생산성은 270억원으로 은행의 214억원을 훨씬 앞질렀고 증가율도 87.2%로 은행(10.7%)의 8배를 넘었다.
조사기간 가장 높은 연봉 증가율을 보인 은행은 한 집안이 된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었다. 하나은행은 2009년 4800만원이었던 평균연봉이 지난해는 7200만원으로 50% 올랐고 외환은행도 6200만원에서 9000만원으로 45.2%가 늘었다.
[표]-시중 은행 생산성, 연봉증가율 현황 자료 : CEO스코어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