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컨버전스 연구회 "벤처발전 국가회의 상설화하자"

“한국형 벤처·중소기업 발전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우리 업체는 ICT와 과학기술 기반의 기술 창업에 주력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들 업체가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집적 클러스터를 만들고 자금 지원도 대출에서 투자로 무게 중심을 옮겨야 합니다.”

15일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창조경제시대 국내 벤처·중소기업 발전모델 정책세미나`에서 안종배 한세대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창조경제 생태계를 실현하려면 벤처 비즈니스 파크, 벤처 클러스터 파크 등을 구축해 정부 차원에서 창업 기술 개발을 독려해야 할 것”이라며 “투자 활성화 유인책과 인력 양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벤처발전 국가회의`를 조직해 각 부처를 산하기관으로 두는 형태의 거버넌스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안 교수의 발표 후 토론이 이어졌다. 황보윤 호서대 교수는 “창업 기업에게 보증 대출을 통한 벤처 인증 비율을 줄여야 한다”며 “신용불량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벤처 중소기업 지원을 출연자금으로 해야한다”며 “기존 기업을 창조형 업체로 전환할 수 있는 멘토링 시스템 등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광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은 “지난해 R&D 자금이 15조였는데 중소기업이 가져간 금액은 1조원 남짓에 불과했다”며 “올해부터는 중소기업 쿼트를 만들어 금액을 할당해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박창교 벤처기업협회 부회장은 “출구 전략(Exit)이 쉽지 않아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통해 투자자 유인책을 만들어야 한다”며 “기업가 정신이 함양된 IT 융합 전문가를 양성해 기업 컨설팅과 과제를 발굴하고 기획 등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부 차원의 제언도 이어졌다. 원용기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 실장은 “1000억원 규모의 콘텐츠 공제조합 설립을 통해 정부에서 벤처기업에 융자와 보증 등을 해주는 방안이 있다”며 “콘텐츠코리아랩을 통해 창조경제가 공유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겠다”고 설명했다. 강성주 미래창조과학부 융합정책관은 “창업에 대한 문화와 인식을 바꿔야한다”며 “도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기업가 정신을 고취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과 출연연의 창업 전진기지화, 글로벌 창업 지원 등에 주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형영 중소기업청 벤처정책과장은 “자금 선순환을 위해 융자에서 투자로 바뀌어야 한다”며 “중기청은 기재부와 함께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한 세제 개편과 정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법이나 벤처기업특별법 등 국회에서도 전폭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세미나를 주관한 심재철 국회 스마트 컨버전스연구회 대표의원은 “미국, 이스라엘, 핀란드 등 선진국들은 이미 자국 고유의 벤처 중소육성 모델을 통해 산업의 건강한 육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며 “한국도 조속히 일자리를 창출하고 신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