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가운데 7곳은 엔저 피해를 그대로 끌어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조건 변경 등 엔저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고 협상력도 높여야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전자신문과 이노비즈협회 공동의 설문조사에서 환율 피해 부분의 수출 가격 전가 여부에 대해 전체의 70%가 `반영(전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손실분 전가를 못하는 경우 불가피하게 수출선을 끊거나 물량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반영 한다`는 기업 비중은 26%였으며, `모두 반영할 수 있다`는 기업은 4%에 불과했다.
엔화 약세에 따른 피해 유형으로는 `가격경쟁력 약화로 인한 수출 물량 감소`(39%)가 `수출규모 감소에 따른 채산성 악화`(23%)나 `환차손 발생`(20%) 보다 많았다. 채산성과 환차손 발생 피해보다도 해외에서 일본 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것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피해 대책 여부에 대해 `있다`는 곳은 20%인 반면 `없다`는 기업 비중은 65%로 올라갔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15%였다.
검토하거나 추진 중인 대책으로는 `해외 마케팅 강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 비중이 34%로 가장 많았으며 `원가 절감`(33%) `결제 통화 변경`(13%) 등의 순이다. `환 헤지`를 꼽은 기업 비중은 7%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도 환 헤지에 적극 나설 것을 주문하지만 과거 환율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한 파생상품 `키코` 사태 등으로 인해 환 헤지에는 매우 소극적인 상태다.
엔저 현상 장기·고착화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환율 전망에 대해 응답자 45%는 `한동안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장기적으로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답변도 42%에 달했다. `약세가 곧 멈출 것`이란 대답과 `모르겠다` 응답은 7%와 5%에 불과했다.
환율 피해에 따른 정부 지원책으로는 `안정적 환율 운용`이 55%로 가장 높았다. `수출시장 다변화 등을 위한 자금 지원`이 26%였으며 `환위험 및 결제 통화 변경을 위한 지원 강화`(14%)와 `수출 행정 절차 간소화`(3%) 등의 순이었다.
서술형으로 질문한 건의책으로는 엔화 하락 대책 요구도 많았지만,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목소리도 높았다. 한 응답자는 “대응할 수 없는 수준으로 갑자기 엔저 현상이 나타났다.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답했으며 또 다른 응답자도 “정부에서는 정책자금 지원을 말하지만 산업계에서는 오히려 조건만 까다롭다. 혁신기업이 환율 변동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제품 개발에 도움을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응답자는 “중소기업 환차손에 대한 대책이 없다. 전문가도 부족하고 엔저에 대처할 수 있는 보험 가입도 복잡하다”며 “은행에 상담하려고 해도 무성의한 대응으로 어렵다”고 토로했다. 정부가 업계 실상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만큼 수출업체에 대한 정밀조사를 기반한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문도 있었다.
과거 일본과의 경쟁에서 환율 이득을 봐 왔지만 이제는 기업이 기술력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한 응답자는 “중요한 것은 경쟁력이다. 환 차익에 의한 가격경쟁력이 아닌 브랜드와 제품 경쟁력으로 승부해야 한다”며 “정부는 일본 정책을 따라갈 것이 아니라 현재의 환율정책을 유지하면서 기업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다른 응답자도 기업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전적이면서도 창조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컨설팅 지원`을 주문했다.
홍창우 이노비즈협회 전무는 “수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기업들의 수출 두려움이 크다”며 “정부는 기업의 이 같은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노비즈협회는 창조경제시대에 맞춰 현재 8000개 수준인 수출기업형 이노비즈기업 수를 5년내 1만50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이노비즈협회 30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이메일로 이뤄졌다. 업종별로는 기계·정밀기기·조선·플랜트업체 58개사, 자동차(부품) 35개사, 정보통신 34개사, 반도체·디스플레이 33개사, 석유·화학·에너지 19개사, 철강·금속 18개사, IT서비스 17개사, 가전 9개사, 섬유·의류 9개사, 게임·콘텐츠 7개사, 기타 61개사였다.
김준배·김명희기자 joon@etnews.com
중국 경제 덮친 엔저 쓰나미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엔화 약세에 따른 희망 정부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