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 한국인 산학관 전문가의 창조경제 훈수…"문 열고 융합하라"

해외 정부, 학계, 산업계에서 활동 중인 한인 공학인들이 대한민국 창조경제에 훈수를 뒀다. 미 항공우주국(NASA) 내 유일한 동양인 간부 신재원 국장보, 삼성종합기술원 출신으로 영국 옥스퍼드대 첫 한국인 공채 정교수로 임용된 김종민 교수, 모토로라를 거쳐 프리스케일의 지식재산(IP)을 총괄하는 박창해 부사장이다.

재외 한국인 산학관 전문가의 창조경제 훈수…"문 열고 융합하라"

이들은 21일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 공동 주관으로 열린 `K-테크 글로벌 R&D포럼` 참석차 방한했다. 전자신문은 행사 전날인 20일 늦은 오후 이들과 릴레이 인터뷰를 가졌다.

◇“문 열고 융합하라”

신재원 국장보는 20여명이 모이는 NASA 수뇌부 회의에 참석하는 유일한 동양인이다. 그는 한국에서 대학을 나와 미국에서 박사를 마친 후 1989년 NASA에 연구원으로 들어갔다. 24년이 지난 지금은 NASA 4개 부문 중 하나인 항공연구부를 책임지고 있다. NASA 전체에서 직급상 서열로는 세 번째다.

신 국장보는 `할 수 있다(can do)`로 요약되는 도전정신을 한국의 장점으로, 기초·원천 기술이 부족한 점을 약점으로 꼽았다. 그가 바라보는 우리나라는 지금 상당히 미묘한 위치에 놓여 있다.

신 국장보는 “한국이 첨단 기술 강국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상은 기초·원천 기술이 약하다”며 “대학생이 글을 읽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문호를 열고 연구개발(R&D) 에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해외 우수 인력이 들어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뜻이다. 그는 “앞으로의 산업 발전은 칸막이를 허물고 융합해야 가능하다”며 “해외 고급 두뇌가 들어와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과학·응용 삼박자 갖춰라”

김종민 교수는 삼성종기원에서 근무하며 지난 2002년 미국 D&A하이테크인포메이션 선정 나노기술리더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2003년엔 삼성 그룹 펠로 11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된 인물이다.

유럽 유학 중인 아들과 함께 하기 위해 지난해 초 50 대 1 수준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옥스퍼드대 정교수가 됐다. 스타트펀드, 조교수, 박사급 인력 등 15억원 규모의 선지원을 받았다.

김 교수는 한국이 나노융합 분야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지녔다고 평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에너지·바이오산업에 없어선 안 될 나노 기술을 갖췄으니 이를 창조경제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전체적으로는 교육, 과학, 응용 삼박자를 갖춰야 한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영국에서 배울 점은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는 교육시스템”이라며 “이것이 기초과학, 응용 분야와 어우러지면 시너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단기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응용 분야를 강화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교육과 기초과학에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IP를 `창`과 `방패`로”

프리스케일의 IP 업무를 총괄하는 박 부사장은 “IP는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가는 핵심 요소로 창조경제와 굉장히 잘 맞는 아이템”이라며 “정부가 IP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사장은 IP를 `창`인 동시에 `방패`로 비유했다. 그는 “IP를 공격적으로 운영하면 이것만으로도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브레인 파워`가 강한 한국에 IP는 중요한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IP를 소홀히 하면 핵심 기술과 제품을 먼저 개발하고도 정작 실익은 다른 나라에 뺏길 수 있다”며 IP의 방패 기능에도 주목할 것을 당부했다.

박 부사장은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1993년 프리스케일의 전신인 모토로라 반도체 부문에 입사했다. 엔지니어로 출발해 생산, 품질관리 등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후 2005년부터 IP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과장급 시절 연구소와 제조라인 간에 반복된 오류 문제를 넉 장짜리 발표 자료로 해결해 능력을 인정받았다. 당시 반대 의견을 낸 측은 50장에 달하는 자료를 내놨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