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람]김도훈 산업연구원장

“산업 정책 연구도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바꾼다.”

김도훈 신임 산업연구원(KIET) 원장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으로서 정책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발 앞서 우리 산업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체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KIET에서만 30년 넘게 연구 활동을 하다가 지난 13일 제19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이사람]김도훈 산업연구원장

김 원장은 신임 원장으로서 `역동성`을 중점 과제로 꼽았다. 그는 “정부보다 앞서서 산업·무역·실물경제 분야에서 국가 어젠다와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연구과제로 제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KIET 내에 있는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활용해 역동적인 연구를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주력 제조업에서 정보통신, 바이오, 지식서비스에 이르는 광범위한 산업 전문가들은 KIET의 큰 자산이다. 20년 이상 한 산업만 지속적으로 연구한 전문가도 적지 않다.

김 원장은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을 뒷받침할 `미래산업연구실`을 신설할 방침이다. 이 역시 단순히 정부 정책 수요만을 만족시키는 연구부서는 아니다. 정부 정책 과제를 받아서 수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백지 상태에서 다양한 외부 전문가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다. 퍼스트 무버형(First Mover)형 신산업 창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미래산업연구실 자체를 창조·창의형 연구 조직으로 운영한다는 게 김 원장의 구상이다. 김 원장은 새 정부 들어 산업통상자원부가 출범한 만큼 `산업+통상`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할 부서도 신설할 계획이다.

KIET를 국내 산업 연구의 총 본산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도 신임 원장으로서 목표 중 하나다. 김 원장은 “산업·무역·통상 관련 외부 전문가, 업종별 단체, 공공기관, 학회, 관계 부처 등과 네트워크를 구성해 산학연관을 아우르는 연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KIET를 산업 연구의 `허브`이자 `플랫폼`으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최근 논의가 활발한 경제민주화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잘하는 쪽이 발목 잡히는 모양이 되서는 곤란하다”며 “잘 할 수 있는데 이를 발현하지 못했던 쪽에 기회를 주는 형태로 경제와 산업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간 중소기업 지원이 지나치게 보호 정책으로 기울어 효율성을 떨어뜨린 점은 반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곁들였다.

KIET 내부 정비도 빠질 수 없는 숙제다. 김 원장은 “연구원들도 성향과 전문 영역에 따라 나뉘는 경향이 있다”며 “이들이 가진 장점을 결합해 서로 간에 시너지를 키우는 쪽으로 조직을 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사진=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