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기업들이 해외자원개발사업 구조조정에 나섰다. 정부가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대대적으로 정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실행에 나섰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한국광물자원공사·한국가스공사 등 대표적인 해외자원개발 공기업이다. 석유공사는 지난달 이사회에서 카자흐스탄 광구를 처분하고 우즈베키스탄 탐사광구 사업을 종료하기로 의결했다. 각각 3200만달러와 1600만달러를 투자한 사업이다. 가스공사도 동티모르 해상 탐사사업 광구 일부를 반납하기로 했고 광물자원공사는 호주와 페루 동·아연·니켈 탐사사업을 접었다.
이들 공사는 공교롭게도 지난 정부 초반 해외자원개발 모범사례로 거론되며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이명박 정부 후반 감사원 감사를 시작으로 혹독한 시련을 맛봤다. 급기야 새 정부 첫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는 석유공사와 광물자원공사가 최하위 등급인 E등급을 받았다. 가스공사는 그나마 C등급을 받아 체면치레했을 정도다. 10여년 이상 사지에서 쌓아올린 에너지 공기업의 노력이 졸지에 헛일로 전락한 셈이다.
에너지 공기업이 잇따라 해외자원개발사업을 정리하는 것을 보면 걱정이 앞선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나라는 자원 없이는 홀로 설 수 없다. 과거 정부가 해외자원개발을 소홀히 할 수 없었던 이유다. 우리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시절 해외자원개발사업 지분을 헐값에 넘겼다가 나중에 후회했다. 나라가 어려워서 처분하기는 했지만 나중에 값이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후 해외자원개발은 대통령 순방 일정의 단골 메뉴로 자리 잡았다. 지난 정부에 절정을 이뤘다. 설익은 사업도 없지 않았겠지만 당장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구조조정하고 처분하는 것은 성급한 처사다. 해외자원사업은 첨단 기술을 동원해도 모두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는 어려운 사업이다.
또 해외자원개발은 국가 간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지는데 하루아침에 사업에서 철수하겠다고 한다면 상대국이 어떻게 받아들일까. 나중에 다시 자원외교를 위해 손을 내밀었을 때 자원을 가진 나라가 우리 손을 잡아 줄 것인지도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