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가능성

미래 친환경차를 대표하는 하이브리드카,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다. 아직은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향후 갈 수밖에 없는 시장이라는 사회적 공감대는 어느 정도 형성됐다. 하지만 기술 진화와 가격, 인프라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데스크라인]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가능성

지난주 제주도에서 `2차 전기자동차리더스포럼`이 열렸다. 130여명의 전문가와 전기차에 관심 있는 일반 소비자들이 대거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제주도라는 지역적 특성을 감수하고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전국 지자체와 산업계, 학계에서 참가했다. 미래 성장산업으로 무엇을 얻어 갈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심리가 토론장을 더욱 뜨겁게 했다.

전기차 산업 활성화에 대한 전망은 지금도 갑론을박이다. 충전인프라, 가격, 성능 등 넘어야 할 산이 높고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시장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한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생산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도 이와 같다.

“우리는 전기자동차에 대해 별 관심이 없습니다. 충전인프라에 투자할 의향이 있는 기업이 없는데 시장이 커지겠습니까.”

개인자격으로 포럼에 참가했다는 현대자동차그룹 고위임원의 말이다. 아직 전기차 시장이 초기단계인 점을 감안하면 틀린 말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은 이미 친환경 자동차로 우회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와 자원고갈에 맞서 일본 혼다는 `혼다 환경선언`을 통해 명문화했다. 유럽연합은 2020년까지 50만개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 제안서를 유럽의회에 제출했다. BMW와 GM이 내년 상반기 국내에서 전기차를 출시한다. 지금도 프랑스 파리와 일본의 도로 위에는 각각 6600대와 1만5000대의 전기차가 질주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 정부의 정책적 의지다. 글로벌 기업들이 친환경차로 달려가고 있는데 전기차 시장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것은 감나무 아래서 감이 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적 의지는 의외로 간단하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니다. 출퇴근용 내연차량의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대부분 50㎞ 안팎이다. 전기차가 1회 충전으로 최대 80㎞를 달릴 수 있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50㎞ 안팎의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는데 큰 장점을 지닌 만큼 자영업자나 이동이 잦은 소비자용이다.

전기차 이용을 유도하는 다양한 인센티브제 도입은 산업 활성화의 촉매제다. 경차에 준하는 세제감면 혜택이라든지,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경차주자창 허용 등으로 보급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정부 지원금에 의존하지 않고 소비자들의 자발적 이용을 유도하는 정책이어야 한다.

금융서비스도 중요한 대목이다. 소비자들은 르노삼성 전기차 가격 4500만원 가운데 정부 지원금 2300만원(환경부 1500만원, 제주도 8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일시불로 납부해야 한다. 부담 해소를 위한 할부금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반 서민이 수천만을 한꺼번에 가계지출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 규제 강화로 글로벌 무역장벽이 높아가는 상황에서 전기차 보급이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 더 이상 눈치를 보면 안 된다. 기업투자와 정부 의지, 소비자 인식전환의 3박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면 국내 전기차 산업은 변방이 아닌 중심에 설 수 있다.

김동석기자 d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