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계부채 대규모 부실화때 배드뱅크 설립하자"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위험성이 당장은 크지 않지만 경기회복 지연이나 취약계층 부담 등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은행은 가계부채가 대규모로 부실화할 때 `배드뱅크`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제언을 했다.

기획재정부는 3일 국회 가계부채 청문회에 제출한 가계부채 현황보고 자료를 통해 “저성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가계부채 누적에 따른 부담증가는 소비를 제약해 경기 회복을 더디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저소득층은 평균소비성향이 높고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서 경기 부진 지속 때 소비 여력이 많이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택시장 부진에 따른 담보가치 하락과 뒤이은 하우스푸어의 상환부담 증가도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경고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보유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커 자산 가치 변동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반적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으나 취약계층이나 제2금융권 등으로 전이될 위험은 일부 존재한다고 총평했다.

금융위는 국회 보고자료에서 가계 부채 위험 요인으로 △우리 경제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위험 △가계 채무상환능력 저하가 금융사 부실로 전이될 위험 △취약계층 부문별 채무상환능력 악화에 따른 사회적 불안정 등을 꼽았다. 특히 최근 비은행권의 높은 가계 대출 증가세, 저신용 다중 채무자 대출 등 가계부채의 질 저하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기재부는 가계부채 대책으로 총량관리 등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지속하고, 창조경제 실현, 일자리 창출 등 채무상환능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택 공급물량을 신축적으로 조정하고 생애 최초 주택구입 자금 지원요건을 완화하는 등 수급 여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다주택자 등에 대한 양도세 중과폐지, 단기보유 양도세 중과완화, 분양가 상한제 신축적 운영 등 규제도 합리화하기로 했다.

특히 한은은 경제성장률 및 주택가격 급락 등으로 예상치 못한 경제 충격으로 가계부채가 대규모로 부실화할 경우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가계부채가 대규모로 부실화할 경우 `배드뱅크(bad bank)`를 설립해 부실채권을 인수하고 채무 재조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추진할 것을 제언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