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레벨 잔류 측파대(8VSB) 전송 방식 허용 여부는 `태풍의 눈`이나 다름없다.
케이블TV사업자(SO)와 IPTV·위성방송 사업자 등 플랫폼 사업자간 단순한 헤게모니 쟁탈전이 아니다. 8VSB 전송 방식 허용 여부에 따라 방송 시장 경쟁 구도는 물론이고 방송 생태계에도 후폭풍을 초래할 가능성이 상당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오는 10월 미래창조과학부의 8VSB 허용 여부 결정을 앞두고 찬반을 달리하는 방송사업자가 한치 양보 없는 논리전에 돌입했다. 미래부가 최종 결정을 위해 방송사업자 의견을 수렴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방향성을 가늠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8VSB 전송 방식은 단지 기술적 이슈가 아니라 방송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며 신중함을 견지했다.
논란이 된 8VSB는 디지털TV 전송 방식으로, 1개 채널당 6㎒ 대역폭을 사용해 아날로그 케이블에도 고화질(HD) 방송을 내보낼 수 있는 기술이다. 디지털TV를 가진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도 HD 방송을 즐길 수 있다. 현재 지상파만 이 기술을 사용해 HD 방송을 송출 중이다.
문제는 8VSB가 다른 디지털 변조방식인 쾀에 비해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쾀은 6㎒ 대역폭에 채널을 4개 이상 넣을 수 있지만 8VSB는 단 1개 채널만 전송할 수 있다.
또 8VSB가 완벽한 양방향 디지털방송이 아니라는 것이다. 고화질 화면을 볼 수는 있지만, 주문형비디오(VoD)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할 수는 없다.
8VSB 전송 방식 허용을 둘러싸고 방송사업자 진영은 사분오열됐다. 방송콘텐츠사업자간 이해관계도 엇갈린다. 종합편성채널과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는 찬성을, 지상파 방송사와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다. SO·PP 등 동일 사업자 진영에서도 각각의 처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주장이 제기되는 등 온도차가 상당하다.
디지털 전환 비율이 낮은 SO와 MPP는 8VSB를 찬성하고 있다. 중소 PP는 퇴출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소 PP 관계자는 “8VSB를 허용하면 케이블 채널 자체가 줄어든다”며 “특히 시청률이 낮은 군소 PP는 살아남을 수 없게 된다”고 토로했다.
종편이 찬성하는 것은 8VSB 허용 이후 HD급 화질을 제공해 시청자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는 현실적 계산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사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상파는 8VSB 연구반 회의에도 불참한 채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다.
지상파 방송사는 종편에 대한 특혜라고 주장하고 있다.
방송사업자간 의견 대립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의 대안 제시도 잇따르고 있다. 8VSB 전송 방식을 허용하되,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또, 대상을 한정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도준호 숙명여대 교수는 “당장의 디지털 전환 숫자를 높이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저가 시장 고착화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며 “8VSB 전송 허용이 가능한 가구를 소득 등으로 제한하는 등 `부분적 도입`을 해야 한다”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미래부는 규제 필요성과 형평성, 이용자 편익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아직은 각각의 사업자로부터 의견을 청취하는 단계로, 허용 여부를 단정 지을 수 없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내달 28일 PP 의견을 청취한다. 이후 전문가 의견을 수렴, 이르면 10월 중 허용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8VSB란=8레벨 잔류 측파대(8-VSB, 8-level vestigial sideband) 전송은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현재 지상파 채널에서 사용하고 있다. 8VSB는 1개 채널당 6㎒ 대역폭을 사용해 아날로그 케이블에도 고화질(HD) 방송을 내보낼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전송 대역 효율이 낮아 전송 가능한 채널이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