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방통위 UHD TV 손 잡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초고선명(UHD) TV 활성화에 협력한다. 차세대 방송 포맷으로 꼽히는 UHD TV 진흥을 놓고 다소 엇박자를 보이던 두 부처가 정책 공조체제를 만든다.

미래부-방통위 UHD TV 손 잡는다

13일 미래부와 방통위에 따르면 양 부처는 최근 UHD TV 진흥 협력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이번 주 각자 후보 안을 마련하고 21일로 예정된 최문기 장관과 이경재 위원장의 회동에서 최종 안을 조율한다.

두 부처는 공동협의체를 가동하는 등 정책 소통로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TV제조사, 콘텐츠 업계, 유료·지상파 방송사, 미래부, 방통위를 아우르는 거대 추진체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부처 간 협력으로 주파수 할당, 지상파 방송사 정책지원 등 논란이 됐던 항목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UHD TV를 놓고 이견을 보여 왔다. 지상파와 유료방송 업계 이해관계 대립이 배경이다.

이경재 위원장은 지난 7월 미국 출장에서 돌아온 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미래부가 UHD TV 정책에서 방통위와 사전상의 했어야 한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위원장은 `금의야행(錦衣夜行)` 등 사자성어를 들며 “UHD TV는 시기상조로 신중히 가야한다”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 위원장의 발언은 앞서 미래부가 6월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업계 위주 UHD TV 서비스 지원책(차세대 방송기술 발전전략)을 발표한 데 따른 불만을 표시한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 의견에 힘을 실어줬다는 분석이다.

지상파 방송사는 미래부 전략 발표 이후 `유료방송보다 지상파에서 UHD TV가 먼저 서비스돼야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치며 반대의견을 전달한 바 있다.

유료방송보다 지상파에서 UHD TV가 먼저 서비스돼야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의 발언 이틀 뒤 최문기 장관은 “정부가 UHD 방송을 한다, 안 한다를 결정하는 게 아니다. 케이블 사업자가 실험방송 거쳐 UHD 방송을 상용화하겠다고 하는데 기술적으로 가능하니까 하는 것”이라며 이 위원장의 발언에 우회적으로 화답했다. 시장흐름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 최 장관은 “큰 틀의 진흥책은 방송통신위원회와 공동으로 짜겠다”며 보조를 맞출 뜻을 내비쳤다.

미래부와 방통위의 UHD TV 진흥 공동협력이 가시화되며 지상파·유료방송 업계는 긴장상태다. 향후 업계 종합 지원책 수준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지상파는 UHD TV 서비스를 이유로 700㎒ 주파수 할당을 요구 중이다.

케이블방송 업계 한 관계자는 “UHD TV 논쟁은 단순히 서비스 개시 순서를 다투는 차원이 아니다”라며 “어느 쪽이 차세대 방송에서 오너십을 가지느냐를 예측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최문기 장관-이경재 위원장 UHD TV 관련 발언 일지

6월 최문기 장관

“케이블 UHD 시범방송은 UHD 방송 시청 시대를 여는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우리나라가 HD에 이어 세계 UHD 방송을 선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 정부는 UHD 콘텐츠 제작, 기술개발 및 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겠다.”

7월 이경재 위원장

“미래부에서 UHD TV를 도입을 발표했는데 방통위하고 상의했으면 좋을 뻔했다.미국은 UHD TV를 도입하는데 적극적이지 않다. UHD보다 색상, 명암 문제를 개선해 TV를 좀 더 싸게 보급하는데 관심이 많다. 국내 콘텐츠 제작 80%를 지상파가 하는데 지상파를 빼놓고 UHD를 하기는 어렵다.”

8월 최문기 장관

“(UHD TV 시장 활성화는) 정부가 하고 말고를 결정 사항이 아니다. 과거에는 정부가 어떤 신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하고 사업자가 따라오는 구조였는데 지금도 정부가 이런 것을 승인해줘야 하는 구조인가(의문이다). 케이블 사업자가 UHD 방송을 상용화하겠다고 하는데 기술적으로 가능하니까 하는 것. 지상파가 UHD 서비스를 하기 위해선 주파수, 기술표준 등이 복잡하다. 서비스 확산을 시장에 맡기되 큰 틀의 진흥책은 방송통신위원회와 공동으로 짜겠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U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