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공기업들이 부채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에도 임직원들이 돈잔치를 벌였다고 질타했다. 특히 에너지 공기업들은 최근 3년간의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근거로 2조원이 넘는 성과급을 직원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여야의원들은 정부과천청사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에너지 공기업들의 성과급 나눠먹기 관행을 집중 성토했다.
정수성 새누리당 의원은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공공기관 경영평가 및 성과급 지급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성과급 지급액이 2조87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산업부 산하 36개 기관을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성과급 총 지급액(기관장 포함 지급총액)은 한수원을 비롯한 6개발전사와 자회사 등 발전분야 10개 기관이 전체의 약 1조 6352억원(78%), 한국가스공사 등 자원 및 에너지 9개 기관이 약 3704억원(18%), 17개 기타 공공기관이 약 818억원(4%)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별 최근 3년간 지급한 총 성과급(기관장 포함)은 한국전력이 약 86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한수원(2000억원), 가스공사(1300억원), 한국전력기술(1100억원) 순이었다.
기관별로 최근 3년간 1인이 수령한 평균지급총액은 한국전력기술 19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동서발전 1607만원, 나머지 공기업이 1500만원대의 성과급을 지급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을 지급받지 못한 공기관은 전력거래소와 석탄공사로 이들은 2011년 경영평가 당시 각각 전력대란과 경영악화를 이유로 D등급을 받았다.
오영식 민주당 의원은 MB정부 5년간 석유공사·가스공사·광물자원공사·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 4곳의 총부채가 62조9000억원에서 121조4000억원으로 94.6%가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은 “공기업 부채가 눈덩이 처럼 불어났음에도 임직원들이 성과급 나눠먹기 관행을 했다”며 “한전과 가스공사 사장은 억대 성과급을 챙겼으며 임직원들에PR 나눠준 성과급도 3500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민주당 의원도 보도자료를 통해 12개 에너지 공기업의 성과금급총액이 3조원을 웃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전과 한수원, 가스공사 등 상위 5개 공기업의 상여금이 전체의 58%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추 의원은 “5년간 부채가 급증한 에너지공기업 5개사가 천문학적인 상여금 잔치를 벌였다”며 “비정규직은 상대적으로 월급이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성토했다.
이에 대해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5개 공기관의 임직원 수가 많다보니 그런 큰 규모가 나왔다”며 “공기업 재무구조 개선대책은 자율적으로 해야할 부분이 있지만 산업부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있는 만큼 공기업 부채개선 가이드라인을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석기자 dskim@etnews.com,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
이호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