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는 이미 다른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고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입니다. 무조건 막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단, 의료전달체계를 파괴하지 않도록 정부나 의료서비스 주체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시행해야 합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원격의료 허용에 대한 정지훈 명지병원 IT융합연구소장이 제시하는 해법이다. 정 소장은 국내에서는 드물게 의공학 박사학위를 받고 의료·IT융합을 연구하는 미래학자이다.
정 소장은 “원격의료는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허용할 수밖에 없는 서비스 체계”라며 “원격의료가 허용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전도 체크 등 다양한 의료 서비스가 보편화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 많은 비용을 들이고 병원을 가야만 받을 수 있었던 각종 검진들이 집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원격의료 서비스를 통해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불필요하게 병원을 방문해 소비하는 사회적 의료비용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격의료에 대한 보완 체계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정 소장은 “의료전달체계 파괴는 매우 중요한 얘기”라며 “원격의료 허용으로 대형 병원이 동네 중소병원 시장까지 잠식하면 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야기된다”고 말했다.
원격의료 허용을 단계적으로 추진, 동네 중소 병원들이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병원 등 대형 병원들도 무조건적인 시장 진입이 아닌, 중소병원과 협력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원격의료 모델도 만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원격의료가 의료서비스 수준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일부 의견에는 반대했다. 정 소장은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의료서비스가 일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지만,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에서 외면 받게 돼 퇴출될 것”이라며 “결국 원격의료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최고 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원격의료를 불허해야 한다면 이는 해킹 사례가 발생했다고 인터넷뱅킹을 전면 폐지하자는 주장과 같다”고 덧붙였다.
원격의료 허용으로 관련 시장 창출을 기대하는 IT산업에게도 무조건적인 시장진출은 오히려 독이 될 것이라고 충고했다.
정 소장은 “의사 등 전문가들과의 협업 없이 IT적인 시각만으로 원격의료 서비스나 솔루션을 개발한다면 시장에서 외면 받게 될 것”이라며 “이미 다국적 기업들이 그러한 선례를 남긴 바 있다”고 전했다. 의료에 대한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한 후 이를 IT에 접목해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