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13개 대형 융합과제 사업의 긍적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 향후 보완해야 할 점도 적지않다고 지적했다. 기획 취지를 살려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후속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홍용택 서울대 교수는 시스템 전체를 보고 기획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이라며 긍정적으로 평했다. 홍 교수는 “추진 과정에서 일부 기술과제가 중복될 수도 있겠지만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찾자는 차원에서 기획 의도는 좋다”고 말했다.
세부 기획, 중소기업 참여 등 실제 사업 시행 과정에는 보완을 당부했다. 홍 교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비중을 잘 조정하되 나눠먹기식 사업을 피하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품목은 대기업만 할 수 있겠지만 중소기업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매번 반복되는 문제점에 대한 철저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김상훈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술 사업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등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제기돼 개선 노력이 있었지만 실질적인 체감 효과는 낮은 게 현실”이라며 “제도 수립 이후 운용 차원에서 지속적인 보완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해외 사례 벤치마킹 과정에서 한국과 다른 나라의 산업 생태계가 같지 않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무조건 수용하기 보다는 국내 현실에 맞게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익명을 요구한 산업부 산하 연구개발(R&D) 기관 관계자는 중장기 사업이 갖는 변동성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그는 “1~2년도 아닌 7~10년에 달하는 사업을 하다보면 대내외 여건이 초기 목표와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가 적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밝힌 대로 중간 점검 후 방향을 조정하는 `마일스톤 방식`을 효과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일부 사업은 현 정부를 지나 다음 정부에서도 추진돼야 하는데 이때 연속성을 잃지 않도록 구체적이고 상세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13개 대형 융합과제 세부 아이템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김덕원 연세대 교수는 “앞으로 진단과 예방이 의학의 큰 축으로 자리잡으면 빅데이터 응용 기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유전자 분석과 치료 응용 기술 개발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오은지기자 onz@etnews.com
-
문보경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