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우리나라 게임업체가 1만3000여개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 기준으로 40%가량 업체가 사라진 셈이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게임산업에 대한 산업규제가 잇따르면서 사업을 접는 사례가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된다.
2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3 콘텐츠산업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8년 2만9293개로 조사됐던 게임업체수는 2012년 1만6189개로 줄었다. 연평균 3700개사(13.8%)가 문을 닫은 꼴이다. 신설기업도 꾸준한 것을 감안하면 연평균 폐업기업 수는 더욱 늘어난다.
게임업체수는 지난 2009년 3만535개사로 정점을 이르고 지속적인 감소세다.
특히 2010년에는 전년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만개가량이 감소했다.
애니메이션과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장르 기업수가 이 기간 늘어난 것과 대조된다.
반면 게임은 2012년에 26억3800만달러를 수출해 전체 콘텐츠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7.2%에 달했다. 콘텐츠 산업 대표 수출산업으로 톡톡한 효자 역할을 했다.
2012년 매출도 9조7525억원으로 출판산업(21조973억원), 방송(14조1825억원), 광고(12조4838억원)에 이어 4번째 규모를 차지했다.
이 기간 기업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게임업계 종사자 수는 최근 5년간 9만5000여명 안팎을 유지했다. 기업수가 큰 폭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꾸준히 일자리를 만들면서 고용에도 한 축을 담당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플랫폼 변화와 정부 규제가 지난 2010년 이후 게임업체 감소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한 게임업체 임원은 “스마트폰 등장과 함께 모바일게임이 주류에 편입되면서 국내 기업의 주요 사업 분야인 온라인게임이 어려움을 겪었고 여기에 정부가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기반해 셧다운제 등 각종 규제책을 내놓으면서 문을 닫는 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인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사업자들이 올해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도 있다.
다른 게임업체 관계자는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이 게임중독법을 발의해 올해 논의가 예상되는 데다 올해 웹보드 게임 규제가 6월부터 시행되면 업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수출과 고용창출을 위해서라도 게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요 콘텐츠 분야 사업체 수 (단위 개사)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